단백뇨 수치별 해석: 소변으로 신장 이상을 가장 먼저 감지하는 방법

이미지
단백뇨(Proteinuria) 는 소변에 단백질이 검출되는 상태로, 신장 기능 이상을 조기에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 입니다. 정상적인 신장은 단백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지만, 사구체나 세뇨관에 이상이 생기면 혈액 속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단백뇨의 정상 수치, 소변 검사 결과 해석, 신장 질환과의 관계 를 표로 정리해드립니다. --- 1. 단백뇨 정상 수치 기준 검사 항목 정상 범위 의미 소변 단백 정성 검사 (Dipstick) Negative (음성) 소변에 단백질 없음 소변 단백 정량 검사 < 150mg/day 정상 범위 내 배출 소변 ACR (Albumin/Creatinine 비율) < 30 mg/g 정상 또는 경도 상승 ※ ACR은 단일 소변으로 측정 가능한 가장 민감한 신장 기능 지표입니다. --- 2. 소변 단백 정성검사(Dipstick) 수치 해석 결과 상태 의심되는 원인 Negative (-) 정상 건강한 신장 Trace 미량 일시적 단백뇨 (운동, 탈수 등) 1+ 경도 상승 사구체 손상 초기, 당뇨병 초기 2+ 중등도 상승 신증후군 가능성, 만성 신장병 3+ 이상 고도 상승 진행성 신부전, 사구체신염 --- 3. 소변 ACR (Albumin/Creatinine Ratio) 기준 ...

NSE 수치별 해석: 신경내분비계 종양 진단 지표

이미지
  1. NSE란? 2. 임상적 활용 3. 정상 수치 4. 수치별 해석 5. NSE 상승 원인 6. 해석 시 주의사항 7. 추적 검사 활용 8. 결론 🔍 1. NSE란? NSE (Neuron-Specific Enolase) 는 신경세포와 신경내분비세포에서 발현되는 효소 단백질로, 신경내분비계 종양의 종양표지자 로 사용됩니다. 특히 소세포폐암, 신경모세포종, 갑상선 수질암 등에서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 2. 임상적 활용 🧬 신경내분비 종양 진단 보조 📉 항암치료 반응 평가 🔁 재발 감시 및 추적 검사 📊 3. 정상 수치 검사 대상 정상 범위 (ng/mL) 성인 일반인 0 ~ 12.5 ※ 검사 방법(ELISA, ECLIA 등)에 따라 기준값이 다를 수 있습니다. 📈 4. NSE 수치별 해석 NSE 수치 해석 의심 질환 < 12.5 ng/mL 정상 특이사항 없음 12.5 ~ 20 ng/mL 경도 상승 경미한 신경내분비 반응 또는 비특이적 20 ~ 50 ng/mL 중등도 상승 소세포폐암, 신경모세포종 등 의심 > 50 ng/mL 고도 상승 진행성 신경내분비 종양, 전이 가능성 ⬆ 5. NSE 상승 원인 🫁 소세포폐암 (Small cell lung cancer) 🧠 신경모세포종 (Neuroblastoma) 🦋 갑상선 수질암 (Medullary thyroid cancer) ?...

eGFR 수치별 해석: 만성 신부전 단계와 신장 기능 관리법

이미지
eGFR(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추정 사구체여과율) 은 신장이 혈액 속 노폐물을 얼마나 잘 걸러내는지를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신장 기능 평가에서 가장 핵심적인 지표 입니다. 혈액검사에서 Creatinine(크레아티닌) 수치를 바탕으로 나이, 성별, 체중 등을 반영해 자동 계산되며, 만성 신장질환(CKD)의 병기 구분, 투석 시작 시점 결정, 약물 용량 조절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 1. eGFR 수치 계산이 중요한 이유 ✅ 단순 Creatinine 수치보다 개인 맞춤 해석이 가능 ✅ CKD 병기(1~5단계) 판단 가능 ✅ 초기 신장 기능 저하를 조기에 발견 ✅ 약물 복용 시 용량 조절 참고 지표 --- 2. eGFR 정상 수치 및 CKD 단계 구분 eGFR 수치 (mL/min/1.73㎡) CKD 단계 신장 기능 해석 임상적 의미 > 90 1단계 정상 또는 고기능 단백뇨, 혈뇨 동반 시 CKD 가능성 60 ~ 89 2단계 경도 감소 조기 신기능 저하, 추적 관찰 필요 30 ~ 59 3단계 중등도 감소 확실한 신기능 저하, 생활관리 중요 15 ~ 29 4단계 중증 감소 투석 준비 단계, 식이·약물 관리 필수 < 15 5단계 말기 신부전 투석 또는 신장이식 고려 시점 💡 eGFR은 나이가 많을수록 자연 감소할 수 있으며, 60 이상 유지되면 일반적으로 기능이 양호하다고 판단합니다. --- 3. eGFR과 Creatin...

Creatinine 수치별 해석: 신장 기능 저하를 판단하는 가장 신뢰도 높은 지표

이미지
  Creatinine(크레아티닌) 은 근육에서 에너지를 사용할 때 생성되는 노폐물로, 오직 신장을 통해 배설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는 신장의 여과 기능(GFR)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표 로 사용되며, 신부전 진단의 핵심 지표로 평가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Creatinine의 정상 수치, 수치별 해석, 사구체 여과율(eGFR)과의 관계, 신부전 단계 구분까지 표로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 --- 1. Creatinine 정상 수치 기준 대상 정상 범위 (mg/dL) 성인 남성 0.7 ~ 1.3 성인 여성 0.6 ~ 1.1 고령자 0.6 ~ 1.5 (근육량에 따라 다름) 💡 근육량이 많을수록 Cr 수치가 높게 나올 수 있으므로, 개인의 체형·성별 고려 가 중요합니다. --- 2. Creatinine 수치별 해석표 Cr 수치 (mg/dL) 해석 의심되는 상태 0.6 ~ 1.3 정상 신장 여과기능 양호 1.4 ~ 2.0 경도 상승 경증 신기능 저하, 탈수, 약물 영향 2.1 ~ 5.0 중등도 상승 만성 신부전, 약물성 신장 손상 > 5.0 고도 상승 중증 신부전, 투석 필요 고려 --- 3. eGFR(추정 사구체 여과율)과 신부전 단계 eGFR 수치 (mL/min/1.73m²) CKD 단계 의학적 해석 > 90...

BUN 수치별 해석: 신장 기능 저하를 알려주는 초기 경고

이미지
  BUN (Blood Urea Nitrogen, 혈중 요소질소) 은 단백질 대사의 최종 산물인 요소(Urea)가 혈중에 얼마나 존재하는지를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요소는 간에서 만들어져 신장을 통해 배설되기 때문에, BUN 수치는 신장 기능의 초기 이상을 감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 로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BUN의 정상 수치, 수치별 해석, 의심 질환, Creatinine과의 비교를 통해 신장 상태를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 1. BUN 정상 수치 기준 대상 정상 범위 (mg/dL) 성인 7 ~ 20 고령자 7 ~ 25 (노화로 다소 증가 가능) ※ BUN은 단백질 섭취, 탈수 상태, 약물 등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해석 시 상황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2. BUN 수치별 해석표 BUN 수치 (mg/dL) 해석 의심 가능한 원인 7 ~ 20 정상 정상적인 신장 기능 21 ~ 30 경도 상승 탈수, 고단백 식사, 초기 신기능 저하 31 ~ 50 중등도 상승 급성 신부전, 심부전, 출혈 > 50 고도 상승 만성 신부전, 요로 폐쇄, 요독증 < 7 저하 간기능 저하, 단백질 결핍, 과잉 수분섭취 --- 3. BUN 상승 원인 정리 원인 분류 대표적 원인 신장 문제 급성 또는 ...

Amylase 수치별 해석: 췌장과 침샘 건강을 보여주는 소화 효소

이미지
Amylase(아밀라아제) 는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소화 효소로, 주로 췌장과 침샘 에서 분비됩니다. 혈액에서 Amylase 수치가 상승하면 췌장염은 물론 침샘염, 장 질환 등 다양한 이상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mylase 정상 수치부터 수치별 해석, 의심 질환, Lipase와의 차이점까지 표 중심으로 상세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1. Amylase 정상 수치 기준 검사 항목 정상 범위 (U/L) 혈청 Amylase 30 ~ 110 소변 Amylase 3 ~ 30 U/h ※ 검사실 및 기기 종류에 따라 기준치가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반드시 검사결과지의 참고 범위를 확인하세요. --- 2. Amylase 수치별 해석표 수치 (U/L) 의학적 해석 의심 질환 30 ~ 110 정상 췌장 및 침샘 기능 정상 111 ~ 300 경도 상승 급성 췌장염 초기, 침샘염, 신부전, 장 폐색 301 ~ 1,000 중등도 상승 급성 췌장염, 위궤양, 복막염, 십이지장염 > 1,000 고도 상승 췌장 괴사, 심한 췌장염, 췌장 종양 --- 3. Amylase 상승 원인 정리 분류 구체적 질환 췌장 관련 급성 췌장염, 만성 췌장염, 췌장 낭종 타 장기 관련 침샘염(이하선염), 장 폐색, 위장관 천공 기타 ...

Lipase 수치별 해석: 급성 췌장염의 진단을 돕는 효소 지표

이미지
Lipase(리파아제) 는 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 효소로, 주로 음식물 속 지방을 분해 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췌장에 염증이나 손상이 발생하면 이 효소가 혈액 속으로 유출되어 수치가 상승합니다. 특히 급성 췌장염 진단에서 Lipase 수치는 가장 민감하고 특이적인 지표 로 평가받고 있으며, Amylase보다 진단 정확도가 높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Lipase 정상 수치부터 수치별 해석, 의심 질환, Amylase와의 비교 등을 표로 정리해 드립니다. --- 1. Lipase 정상 수치 대상 정상 범위 (U/L) 성인 13 ~ 60 기관에 따라 최대 140까지 인정 ※ 검사 방법 및 장비, 참고 범위는 기관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반드시 검사결과지의 기준치와 비교 하여 해석해야 합니다. --- 2. Lipase 수치별 해석표 Lipase 수치 (U/L) 의학적 해석 의심 질환 13 ~ 60 정상 정상 췌장 기능 61 ~ 180 경도 상승 초기 감염, 만성 췌장염, 위장염, 신부전 181 ~ 600 중등도 상승 급성 췌장염 초기, 담석성 췌장염, 장 천공 > 600 고도 상승 급성 췌장염, 췌장 괴사, 췌장암 --- 3. Lipase 상승 원인 정리 원인 범주 대표 질환 췌장 질환 급성 췌장염, 만성 췌장염, 췌장암 담도계 문제 담관 폐쇄, 담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