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25의 게시물 표시

CRP 수치별 염증 단계 정리: 급성부터 만성 염증까지 정확하게 해석하기

이미지
CRP(C-Reactive Protein, C반응단백) 는 우리 몸에 염증이 생겼을 때 간에서 급격히 생성되는 단백질로, 혈액검사에서 염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매우 민감한 지표입니다. 세균 감염, 조직 손상, 자가면역질환, 암 등에서 상승할 수 있으며, 질병의 중증도와 경과를 추적 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CRP 수치별로 염증 단계를 어떻게 구분하는지 , 각각의 수치가 의미하는 질환 가능성은 무엇인지, 임상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등을 표 중심으로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1. CRP 정상 수치와 검사 기준 검사 항목 정상 수치 설명 일반 CRP 0 ~ 0.5 mg/dL 급성 염증 평가에 사용 고감도 CRP (hs-CRP) 0 ~ 0.3 mg/dL 심혈관질환 위험도 예측용 ※ 단위에 따라 mg/L로 표시되기도 하며, 1 mg/dL = 10 mg/L 입니다. --- 2. CRP 수치별 염증 단계 해석표 CRP 수치 (mg/dL) 염증 단계 의심 질환/상태 0 ~ 0.5 정상 정상 면역 상태 0.5 ~ 1.0 경계 수치 초기 감염, 경미한 염증 1.0 ~ 3.0 저도 염증 만성염증, 대사증후군, 심혈관질환 위험 ↑ 3.0 ~ 10.0 중등도 염증 바이러스 감염, 류마티스관절염, 폐렴 등 > 10.0 고도 염증 세균성 감염, 패혈증, 염증성 장질환, 수술 후 ...

PLT 수치 이상이 조산과 연관된 이유

이미지
  혈소판(Platelet, PLT) 은 출혈을 막고 혈액 응고를 조절하는 중요한 세포입니다. 특히 임신 중에는 혈액응고 시스템이 매우 민감하게 작동하며, PLT 수치 이상은 조산(preterm birth)의 위험과도 관련 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임산부의 PLT 수치 변화 와 그로 인한 조산 위험, 주의해야 할 질환, 혈소판 감소증의 임상적 의의 등을 표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 1. PLT 수치의 정상 범위와 임신 중 변화 구분 정상 범위 (cells/μL) 비고 비임신 여성 150,000 ~ 400,000 정상 성인 기준 임신 초기 약간 감소 가능 혈액 희석 현상 임신 후기 100,000 ~ 150,000 정상범위보다 낮더라도 경미한 경우는 흔함 임신 중 혈액량 증가로 인해 PLT 수치는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지만, 100,000 미만으로 감소하거나, 점차 감소 추세를 보일 경우 주의가 필요 합니다. --- 2. PLT 수치가 조산과 연관된 주요 이유 PLT 이상 현상 영향 조산과의 관련성 혈소판 감소증 (Thrombocytopenia) 출혈 위험 증가 태반 조기박리, 출혈성 합병증으로 조산 유발 임신성 고혈압/자간전증 PLT 수치 급감 조기 유도분만 필요 → 조산 위험 ↑ 면역성 혈소판감소증 (ITP) 자가면역 공격으로 혈소판 파괴 태반 기능 저하 및 태아 성장 제한 → 조산 유도 --- 3. 혈소판 수치별 위험도 ...

WBC 수치별 해석: 백혈구 수치로 보는 면역 상태와 질환 신호

이미지
WBC (White Blood Cell count, 백혈구 수치) 는 우리 몸의 면역 상태를 반영하는 대표적인 혈액 수치입니다. WBC 수치가 높거나 낮으면 면역 기능에 이상이 있음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감염, 염증, 혈액 질환 등 다양한 문제의 단서를 제공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WBC의 정상 수치 기준부터 수치별 해석, 원인 질환, 함께 봐야 할 보조 검사 까지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 건강검진에서 ‘백혈구 수치 이상’이라는 결과지를 받아들었을 때,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 1. WBC 수치 정상 범위 대상 정상 WBC 수치 (cells/μL) 성인 4,000 ~ 10,000 소아 6,000 ~ 15,000 신생아 9,000 ~ 30,000 수치가 4,000 미만이면 백혈구 감소증(Leukopenia) , 10,000 이상이면 백혈구 증가증(Leukocytosis) 으로 해석합니다. --- 2. WBC 수치별 해석표 WBC 수치 (cells/μL) 의학적 해석 의심 질환 또는 상태 < 2,000 심한 백혈구 감소 골수기능저하, 항암제 영향, 패혈증 말기 2,000 ~ 3,999 경도 백혈구 감소 바이러스 감염, 자가면역질환, 특정 약물 4,000 ~ 10,000 정상 정상 면역 상태 10,001 ~ 20,000 경도 백혈구 증가 세균 감염, 염증, 급성 스트레스 20,001 ~ 50,000 ...

백혈병 진단 시 혈액 수치에서 보이는 변화

이미지
  백혈병(Leukemia) 은 혈액 속 백혈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질환으로,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백혈병은 혈액검사만으로도 의심이 가능하며, 특히 CBC(Complete Blood Count, 전혈구 검사) 에서 이상 징후가 먼저 나타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백혈병이 의심될 수 있는 혈액 수치의 변화와, 실제 임상에서 자주 보이는 패턴을 표로 정리 하여 설명드립니다. --- 1. 백혈병의 종류별 혈액학적 특징 백혈병 유형 주된 혈액 수치 변화 특징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LL) 백혈구 ↑ 또는 ↓, 혈소판 ↓, Hb ↓ 소아에서 흔함, 림프구계 이상세포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 백혈구 ↑ 또는 ↓, 혈소판 ↓, Hb ↓ 성인에서 흔함, 골수계 백혈병모세포 존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백혈구 수치 ↑↑, 림프구 ↑ 노년층에서 서서히 진행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 백혈구 수치 ↑↑, 호중구계 증가 Philadelphia 염색체(+) --- 2. CBC 수치 변화로 의심할 수 있는 주요 포인트 검사 항목 정상 범위 백혈병 의심 시 변화 WBC (백혈구 수) 4,000~10,000 /μL 급격한 증가 or 감소, 비정형 세포 출현 Hb (헤모글로빈) 남 13.5~17.5 / 여 12.0~15.5 g/dL 빈혈 동반 (↓) PLT (혈소판) 150,000~400,000 /μL ...

CBC 검사 수치별 해석: 혈액 속 건강 신호를 읽는 방법

이미지
CBC(Complete Blood Count, 전혈구 검사) 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혈액 검사입니다. 감염, 염증, 빈혈, 혈액암 등 다양한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건강검진이나 병원 진료에서 자주 시행됩니다. 이 글에서는 CBC 검사 항목별 정상 수치 범위와 수치별 해석 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리며, 각 수치가 높거나 낮을 때 의미하는 바를 표 중심으로 상세하게 안내드립니다. --- 1. CBC 검사 주요 항목과 정상 범위 항목 정상 수치 의미 WBC (백혈구) 4,000 ~ 10,000 /μL 면역 상태, 감염 여부 RBC (적혈구) 남: 4.7~6.1 / 여: 4.2~5.4 (×10 6 /μL) 산소 운반 능력 Hb (헤모글로빈) 남: 13.5~17.5 / 여: 12.0~15.5 g/dL 빈혈 여부 확인 Hct (헤마토크릿) 남: 40~52% / 여: 36~48% 혈액 농도 MCV 80 ~ 100 fL 적혈구 크기 → 빈혈 유형 판별 PLT (혈소판) 150,000 ~ 400,000 /μL 혈액 응고 기능 --- 2. WBC 수치별 해석 (백혈구) WBC 수치 (/μL) 의학적 해석 의심 가능한 상황 < 4,000 백혈구 감소증 면역저하, 바이러스 감염, 골수 억제 4,000 ~ 10,000 정상 정상 면역 상태 ...

CA 19-9 수치별 해석: 췌장암부터 양성 질환까지 정확하게 알아보기

이미지
CA 19-9(Cancer Antigen 19-9) 는 췌장암을 비롯한 일부 소화기 암에서 상승하는 대표적인 종양표지자(Tumor marker) 입니다. 특히 췌장암 진단과 치료 경과 관찰에 널리 활용되며, 수치의 변화가 진단 및 예후에 큰 힌트를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CA 19-9 수치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암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염증성 질환이나 담도계 질환, 간질환 등에서도 일시적인 수치 상승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CA 19-9 수치를 해석할 때는 수치 범위와 동반 질환, 영상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 해야 합니다. --- 1. CA 19-9 수치별 해석 표 CA 19-9 수치 (U/mL) 해석 의심 질환 / 상태 권장 검사 0 ~ 37 정상 범위 해당 없음 정기 건강검진 38 ~ 100 경도 상승 췌장염, 담도염, 간질환, 당뇨병 경과 관찰, 혈액검사 추적 101 ~ 1,000 의심성 상승 췌장암, 담도암, 위암, 대장암 복부 CT, MRI, 내시경 > 1,000 고위험 수치 진행성 췌장암, 전이암 정밀 진단, 조직검사, 치료 계획 수립 정상 수치는 일반적으로 0~37 U/mL로 간주하며, 이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다양한 원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100 U/mL 이상이라면 영상학적 검사와 함께 평가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 2. CA 19-9 수치별 임상적 의미 자세히 보기 🔹 0 ~ 37 U/mL: 정상 정상 수치 범위로 특별한 의심 질환은 없습니다. 단, 췌장암 환자 중 일부는 CA 19-9가 정상일 수 있으므로 암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

혈액 수치 변화 없이 피곤한 경우도 있을까?

이미지
  건강검진에서 혈액검사 결과가 전부 정상인데도 계속 피곤함을 느끼고 있다면, "정말 건강에 이상이 없는 걸까?" 하는 의문이 생기게 됩니다. 오늘은 혈액 수치에는 이상이 없는데도 만성 피로를 느끼는 원인 과, 그럴 때 체크해야 할 항목들, 그리고 대처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 1. 피곤함의 원인이 꼭 혈액 수치에 나타나지는 않는다 많은 분들이 빈혈(Hb↓), 갑상선 문제(TSH↑/↓), 염증(CRP↑) 등과 같은 혈액 수치의 이상을 통해 피로 원인을 찾으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혈액검사 수치는 정상일 수 있습니다. ✔ 이런 경우 혈액검사에 잘 안 드러난다: 수면 부족 및 수면의 질 저하 만성 스트레스, 우울증 운동 부족 또는 과도한 운동 호르몬 불균형 (부신 피로 포함) 초기 갑상선 기능 저하증 만성피로증후군(CFS) --- 2. 혈액 수치 정상인데 피로한 대표 사례 검사 결과 의심 가능한 원인 설명 Hb, RBC 정상 수면 부족, 수면 무호흡증 산소 공급은 정상이나 수면 회복이 안됨 TSH 정상 경계성 갑상선 기능저하 T3 수치 저하로 피로감 지속 CRP, ESR 정상 만성 스트레스 또는 우울증 염증은 없지만 심리적 피로 누적 모든 기본 수치 정상 만성피로증후군(CFS) 진단 배제 후 가능한 원인으로 추정 --- 3. 혈액 수치 이외에 확인해야 할 검사 항목 항목 설명 관련 질환 Ferritin 체내 저장 철분 철 결핍 초기 피로 ...

WBC 수치 상승 시 꼭 함께 체크해야 할 염증 수치

이미지
백혈구 수치(WBC, White Blood Cell Count) 가 상승하면 대부분 '감염'이나 '염증'을 먼저 떠올립니다. 그러나 WBC 단독 수치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워, 반드시 다른 염증 지표들 과 함께 해석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WBC 수치가 높을 때 반드시 함께 확인해야 할 염증 수치(CRP, ESR, Procalcitonin 등) 에 대해 정리하고, 해석 기준 및 임상적 의미를 소개합니다. 1. WBC 수치 정상 범위와 상승 기준 구분 정상 WBC 수치 (cells/μL) 성인 4,000 ~ 10,000 소아 6,000 ~ 15,000 WBC 수치가 10,000/μL 이상 이면 백혈구 증가증(Leukocytosis) 으로 판단하며, 감염, 염증, 스트레스, 백혈병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염증 지표와 WBC 수치의 관계 WBC 수치 상승만으로는 감염 여부를 명확히 알기 어렵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염증성 바이오마커**와 병행해서 해석합니다. ① CRP (C-Reactive Protein) 간에서 생성되는 급성기 반응 단백질 염증, 감염, 조직 손상 시 수치 상승 정상 수치: < 0.3 mg/dL ②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적혈구 침강속도) 만성 염증 시 서서히 상승 자가면역질환, 결핵, 만성감염에서 유용 정상 수치: 남성 < 15 mm/hr, 여성 < 20 mm/hr ③ Procalcitonin (PCT) 세균성 감염에서 특이적으로 상승 바이러스 감염에서는 일반적으로 정상 정상 수치: < 0.05 ng/mL 3. 주요 염증 지표 비교 표 항목 ...

CA 19-9 수치로 보는 췌장암 및 종양 감별 가이드

이미지
CA 19-9 (Cancer Antigen 19-9) 는 주로 췌장암, 담도암, 간암, 위암 등에서 상승하는 종양표지자 입니다. 특히 췌장암의 추적과 치료 반응 평가 에 널리 활용되지만, 단독으로 암을 진단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A 19-9 수치의 정상범위 부터 의심 질환 , 해석 시 주의점 까지 표 중심으로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1. CA 19-9 수치의 정상 범위 구분 정상 수치 (U/mL) 성인 (일반) 0 ~ 37 CA 19-9 수치가 37 U/mL 초과 시 비정상으로 간주하며, 고위험군의 경우 100 U/mL 이상이면 종양 가능성 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2. CA 19-9 상승 시 의심 질환 수치 범위 의심 질환 비고 37 ~ 100 췌장염, 담관염, 간질환 양성 질환에서도 상승 가능 100 ~ 1,000 췌장암, 담도암, 위암, 대장암 영상 검사 병행 권장 > 1,000 진행성 췌장암, 전이암 예후 불량 가능성 ↑ --- 3. CA 19-9 상승의 비암성 원인 급성 또는 만성 췌장염 담관 폐쇄, 담도염 간경변, 간염 낭성 섬유증(Cystic fibrosis) 당뇨병, 갑상선 기능 저하 위와 같은 비암성 질환에서도 CA 19-9 수치가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으므로, **단독 수치로 암 진단은 불가**합니다. --- 4. CA 19-9의 임상적 활용 용도 설명 췌장암 보조 진단 ...

알파태아단백(AFP) 수치로 보는 간암 및 종양 감별

이미지
AFP(Alpha-Fetoprotein, 알파태아단백) 는 주로 태아 시기에 간이나 난황낭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성인의 경우 종양 발생 시 다시 증가 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진단에 널리 사용되는 종양표지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AFP 수치의 정상 범위 부터 질환별 해석법 , 추적 검사 활용법 까지 표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 1. AFP 수치의 정상 범위 구분 정상 수치 (ng/mL) 성인 0 ~ 10 임신 중 여성 10 ~ 수백 (태아 주수에 따라 증가) 정상 성인에서 AFP 수치가 10 ng/mL 이상 이면 정밀검사가 필요하며, 200 ng/mL 이상이면 간암 가능성 을 강하게 의심하게 됩니다. --- 2. AFP 수치 상승 시 의심 질환 AFP 수치 의심 질환 설명 10 ~ 100 간염, 간경변, 임신, 고환암 비암성 질환에서도 상승 가능 100 ~ 200 간세포암 의심 단계 영상검사와 병행 권장 > 200 간세포암, 고환암(배세포종양) 진단적 가치 매우 높음 > 1,000 진행성 간암, 전이암 예후 불량 가능성 ↑ --- 3. AFP 상승의 비암성 원인 급성/만성 간염 (특히 B형 간염) 간경변증 (Cirrhosis) 임신 (태아 AFP 분비로 인해 모체 수치 증가) 희귀하게 폐질환, 장염 등에서 경미한 상승 가능 --- 4. AFP의 임상적 활용 ...

암태아성항원(CEA) 수치로 암을 알 수 있을까?

이미지
  CEA(Carcinoembryonic Antigen, 암태아성항원) 는 대표적인 종양표지자(Tumor marker) 중 하나로, 주로 대장암, 위암, 폐암 등에서 상승 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수치만으로 암을 진단할 수는 없고, 주로 치료 전·후 변화 추적이나 재발 여부 평가에 활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CEA 수치의 정상 범위 와 의심할 수 있는 질환 , 해석 시 주의점 등을 표와 함께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1. CEA 수치의 정상 범위 구분 정상 수치 (ng/mL) 비흡연자 0 ~ 3.0 흡연자 0 ~ 5.0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보다 기준 수치가 약간 높게 설정됩니다. 하지만 5 ng/mL 이상인 경우, 흡연 여부와 관계없이 정밀한 원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 2. CEA 수치 상승 시 의심 가능한 주요 질환 수치 의심 질환 비고 5~10 ng/mL 흡연, 염증성 장질환, 간질환 양성 질환 가능성 있음 10~20 ng/mL 대장암 초기, 위암, 폐암 등 암 의심, 추가 검사 필요 > 20 ng/mL 진행성 대장암, 간전이, 췌장암 고위험군, 정밀 검사 필수 --- 3. CEA 수치 상승 시 고려할 수 있는 비암성 원인 흡연 간경변, 지방간 염증성 장질환(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췌장염, 폐렴, 결핵 이러한 비암성 질환에서도 일시적으로 CEA 수치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단독 수치만으로 암을 진단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 4. CEA는 어떤 용도로 사용될까?...

Hb 수치와 헌혈 전 건강 체크 포인트

이미지
  헌혈 전 건강검사 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 중 하나가 바로 헤모글로빈 수치(Hemoglobin, Hb) 입니다. Hb 수치는 체내 산소 운반 능력을 반영하는 지표로, 너무 낮거나 높을 경우 헌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헌혈 전 알아야 할 Hb 수치의 정상 범위와, 헌혈 가능 기준, 그리고 헌혈 전 체크해야 할 건강 포인트까지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1. Hb 수치란 무엇인가요? 헤모글로빈(Hemoglobin, Hb) 은 적혈구(RBC) 안에 들어 있는 단백질로, 폐에서 산소를 받아 온몸으로 운반하고, 이산화탄소를 다시 폐로 운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Hb 수치가 낮으면 ‘빈혈(anemia)’로 진단되며, 산소 공급 능력이 떨어져 어지럼증, 피로감, 숨참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헌혈 시에는 일정 이상의 Hb 수치를 요구하여, 헌혈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수혈자에게 안전한 혈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Hb 수치의 정상 범위는? 구분 정상 Hb 수치 (g/dL) 성인 남성 13.5 ~ 17.5 성인 여성 12.0 ~ 15.5 청소년 11.5 ~ 16.0 ※ 검사 장비나 병원에 따라 기준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며, 헌혈 허용 기준은 아래와 같이 별도로 적용됩니다. 3. 헌혈 가능한 Hb 수치 기준 2024년 기준, 대한적십자사 및 세계보건기구(WHO)의 헌혈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상 헌혈 가능 Hb 수치 (g/dL) 남성 13.0 이상 여성 12.5 이상 헌혈 당일 측정한 Hb 수치가 기준에 미달할 경우, 안전을 위해 헌혈이 제한됩니다. 특히 생...

적혈구 수치(Red Blood Cell Count): 정상 범위, 높고 낮은 원인, 해석법 총정리

이미지
  적혈구(Red Blood Cells, RBC) 는 혈액 내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가장 중요한 세포입니다. 일반적인 건강검진이나 병원 진료 시 시행하는 혈액 검사(CBC, Complete Blood Count) 에서 적혈구 수치는 빈혈 여부를 포함한 여러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적혈구 수치의 정상 범위 부터 수치 상승(적혈구 증가증) , 감소(빈혈)의 원인 , 그리고 임상적으로 어떤 경우에 주의가 필요한지를 상세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적혈구 수치란? 적혈구 수치(RBC count) 는 혈액 1μL(마이크로리터)당 존재하는 적혈구의 수를 의미합니다. 적혈구는 골수에서 생성되어 약 120일간 생존하며, 체내 조직에 산소를 전달하고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2. 적혈구 정상 수치 범위 구분 정상 범위 (cells/μL) 성인 남성 4.7 ~ 6.1 x 10 6 /μL 성인 여성 4.2 ~ 5.4 x 10 6 /μL 소아 4.1 ~ 5.5 x 10 6 /μL ※ 검사 결과는 실험실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3. 적혈구 수치 감소 (적혈구 감소증, 빈혈) 적혈구 수치가 정상 이하로 감소한 경우, 빈혈(Anemia) 로 간주되며, 다양한 원인에 따라 구분됩니다. ▶ 주요 원인 철분 결핍 : 가장 흔한 원인, 생리 과다·소화관 출혈 등 비타민 B12 / 엽산 결핍 : 거대적혈모구성 빈혈 만성질환 : 신부전, 염증성 질환, 암 등 골수 기능 저하 : 골수이형성증, 항암치료 등 출혈 : 급성 외상, 위장관 출혈 등 유전성 빈혈 : 지중해빈혈(Thalassemia), 겸상적혈구빈혈 등 ▶ 동반 체크할 지표 헤모글로빈(H...

백혈구 수치(White Blood Cell Count): 정상 범위, 증가·감소 원인, 해석법 총정리

이미지
백혈구(White Blood Cell, WBC) 는 면역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로, 외부 병원균과 싸우고 감염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건강 검진이나 병원 진료 시 흔히 시행되는 혈액 검사(CBC) 에서 백혈구 수치는 감염, 염증, 면역 이상 여부를 평가하는 주요 지표로 활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백혈구 수치의 정상 범위 , 수치 상승 또는 감소 시 원인 , 그리고 임상적으로 어떻게 해석되는지를 종합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백혈구 수치란 무엇인가? 백혈구 수치(WBC Count) 는 말초 혈액 1μL(마이크로리터)당 존재하는 백혈구의 수를 의미합니다. 백혈구는 일반적으로 5가지 유형으로 구성됩니다: 호중구 (Neutrophils) 호산구 (Eosinophils) 호염기구 (Basophils) 림프구 (Lymphocytes) 단핵구 (Monocytes) 전체 백혈구 수치는 이 모든 백혈구의 총합으로, 신체의 면역 반응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2. 백혈구 정상 수치 범위 일반적으로 성인의 백혈구 수치 정상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성인 기준: 4,000 ~ 10,000 cells/μL (또는 4.0 ~ 10.0 x 10⁹/L) 소아 및 신생아: 더 높은 범위를 가질 수 있음 (최대 15,000 이상) 참고 범위는 검사 기관 및 장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3. 백혈구 수치 상승 (Leukocytosis)의 원인 백혈구 수치가 10,000 cells/μL 이상인 경우를 백혈구 증가증(Leukocytosis) 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감염 : 세균성 폐렴, 방광염, 장염 등 급성 염증 : 외상, 수술, 화상 스트레스 :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또는 격렬한 운동 백혈병 및 골수 질환 스테로이드 약물 복용 흡연 ※ 참고: 호중구 증가증(Neutrophilia) 전...

심혈관 질환에서의 염증 반응과 면역체계의 역할

이미지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 CVD) 은 단순한 지질 이상과 혈관 협착으로만 설명되지 않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염증 반응(inflammation) 과 면역체계의 조절 불균형 이 심혈관 질환의 발병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오늘은 심혈관계 질환의 병태생리에서 염증과 면역 반응이 어떤 방식으로 작용하는지, 그리고 치료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심혈관 질환과 염증의 관계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은 단순한 콜레스테롤 침착이 아닌, 만성 염증성 질환 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LDL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피에 침착되면서 산화되고, 이 산화된 LDL(oxLDL)이 면역계를 자극하여 염증 반응을 유발합니다. ▶ 주요 염증 경로 산화 LDL → 대식세포(macrophage) 활성화 → 폼세포 형성 인터루킨-1β (IL-1β), 인터루킨-6 (IL-6), TNF-α 등의 프로염증 사이토카인 분비 CRP(C-reactive protein), hs-CRP 상승 → 심혈관 위험 예측 지표로 활용 2. 면역체계의 역할 면역 반응은 선천 면역(innate immunity)과 후천 면역(adaptive immunity)으로 나뉘며, 모두 심혈관계 질환에 관여합니다. ① 선천 면역 (Innate Immunity) 주요 세포: 대식세포, 호중구, 수지상세포 산화된 LDL 인식 후 TLR4(Toll-like receptor)를 통해 염증 신호 전달 인터루킨-1, TNF-α 방출 → 염증 증폭 ② 후천 면역 (Adaptive Immunity) 주요 세포: T세포, B세포 CD4+ T세포는 Th1 반응을 통해 프로염증성 작용 Regulatory T cells(Treg)은 염증 억제 작용을 수행하지만, 심혈관 질환 환자에서 기능 저하 3. 염증과 관련된 주요 심혈관 질환 죽상동맥경화증(Ath...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의 진행 메커니즘과 예방적 중재

이미지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은 대부분의 심혈관계 질환의 근본 원인으로 작용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단순한 '혈관 막힘'이 아닌, 혈관 내피 손상부터 면역 반응, 지질 침착, 플라크 형성까지의 복합적인 병태생리를 이해하는 것이 진단과 치료에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죽상동맥경화증의 진행 메커니즘 과 예방적 중재 방법에 대해 과학적 근거 기반으로 자세히 설명합니다. 1. 죽상동맥경화증이란?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은 동맥 내벽에 지질과 섬유질이 축적되면서 죽종(atheroma) 또는 플라크(plaque) 를 형성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혈관이 점차 좁아지고, 탄력성이 감소하며, 결국 심근경색, 뇌졸중, 말초동맥질환 등의 원인이 됩니다. 진행은 수년에 걸쳐 이루어지며, 특별한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 급성 심혈관 사건으로 발현될 수 있어 "침묵의 살인자"로 불립니다. 2. 병태생리학적 진행 메커니즘 ① 내피세포 손상 (Endothelial Injury)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등으로 인해 혈관 내피가 손상됩니다. 이 과정은 죽상동맥경화의 초기 촉발 요인입니다. ② LDL 침착과 산화 (LDL Oxidation) 손상된 내피를 통해 저밀도 지단백(LDL) 이 침투하고, 산화되어 ox-LDL 로 변형됩니다. 산화된 LDL은 강력한 면역 반응을 유도합니다. ③ 대식세포 침윤 및 폼세포 형성 (Foam Cell Formation) 산화된 LDL은 대식세포(macrophage)를 끌어들이고, 이를 포식한 대식세포가 '폼세포'로 변합니다. 이들이 축적되며 초기 죽상반이 형성됩니다. ④ 죽종(죽상플라크) 성장 및 섬유모세포 반응 죽종이 커지면서 혈관이 좁아지고, 섬유성 캡(fibrous cap)이 형성되어 플라크를 둘러싸게 됩니다. 염증이 지속되면 이 캡이 약해져 파열 위험이 높아집니다. ⑤ 플라크 파열 및 혈전 생성 ...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의 분류와 최신 가이드라인 치료

이미지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CHF) 은 심장이 혈액을 충분히 펌프질하지 못해 신체 조직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지 못하는 질환입니다. 국내외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만성 질환으로, 고혈압, 심근경색, 판막질환 등 다양한 심혈관 질환의 말기 합병증으로 이어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심부전의 분류 부터 최신 치료 가이드라인 까지 핵심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심부전의 정의 심부전은 심장의 수축 또는 이완 기능의 저하로 인해 심박출량(cardiac output)이 감소하거나, 정상적인 심박출량을 유지하기 위해 이완기압과 폐모세혈관압이 증가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임상적으로는 피로감, 호흡곤란, 하지 부종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만성적으로 진행됩니다. 2. 심부전의 주요 분류 ▶ 좌심실 수축기 기능에 따른 분류 (2022 AHA/ACC 기준) HFrEF (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 좌심실 박출률(LVEF) ≤ 40% HFmrEF (Mildly reduced EF) – LVEF 41~49% HFpEF (Preserved EF) – LVEF ≥ 50% 이 분류는 치료 전략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며, HFrEF와 HFpEF는 병태생리와 약물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이 매우 중요합니다. ▶ 임상 증상에 따른 분류 (NYHA Functional Class) I - 무증상, 정상적인 활동 시 제한 없음 II - 약간의 활동 제한, 평상시에는 무증상 III - 일상 활동 시 증상 발생 IV - 안정 시에도 증상 존재 3. 심부전의 주요 원인 고혈압 (Hypertension) 관상동맥질환 (Coronary artery disease)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심장판막질환 (Valvular heart disease) ...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의 병태생리와 치료 접근법

이미지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 MI) 은 관상동맥의 급성 폐색으로 인해 심장 근육이 괴사하는 치명적인 심혈관 질환입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생명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수 있으며, 심부전이나 부정맥 같은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심근경색의 병태생리(Pathophysiology) 부터 진단 및 치료 접근법 까지 임상 지침을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심근경색이란? 심근경색은 주로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으로 인해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혈전(thrombus)으로 인해 급성 폐색되어 심장 근육(myocardium)에 혈류 공급이 차단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심근이 괴사(necrosis)하게 되고, 흉통, 호흡곤란, 쇼크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2. 병태생리(Pathophysiology) 심근경색은 다음의 병태생리학적 과정을 통해 발생합니다: 1단계: 죽상경화반(atherosclerotic plaque) 형성 – LDL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피에 축적되며 염증 반응 유발 2단계: 플라크 파열 및 혈전 생성 – 불안정한 플라크가 파열되면 혈소판이 응집되어 혈전 형성 3단계: 관상동맥 폐색 – 혈전이 혈관을 막아 심장 근육으로 가는 산소 공급 중단 4단계: 심근 괴사 – 허혈성 손상 후 20~30분이 지나면 심근세포가 비가역적으로 괴사 이 과정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므로, 초기 대응의 골든 타임은 90분 이내 로 알려져 있습니다. 3. 심근경색의 분류 임상적으로 심근경색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STEMI (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심전도 상 ST 분절 상승이 나타남 완전 폐색(complete occlusion)에 의한 전층 심근 손상 즉각적인 재관류 치료 필요 ▶ NSTEMI (Non-ST Elevation Myocardi...

고혈압부터 심근경색까지, 심혈관계 질환 10가지 총정리

이미지
전 세계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는 심혈관계 질환 . 우리나라에서도 주요 건강 위협 요소로 꼽히고 있습니다.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뒤늦게 발견하는 경우가 많아 예방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오늘은 현대인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심혈관 질환 종류 10가지 와 주요 증상, 관리법까지 총정리해드립니다. 심혈관계 질환이란? 심혈관계 질환 은 심장과 혈관에 이상이 생겨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심장 기능이 저하되면 신체 전반에 영향을 미칩니다. 고혈압부터 심근경색까지, 심혈관 질환 10가지 1. 고혈압 특징 : 혈압이 지속적으로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질환으로,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습니다. 그러나 심장과 혈관에 지속적인 부담을 주어 심부전, 뇌졸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관리법 : 저염식, 규칙적인 운동, 체중 감량, 항고혈압제 복용 2. 협심증 특징 :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면서 흉통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운동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주로 발생하며, 가슴 중앙이 조이는 듯한 통증이 특징입니다. 관리법 : 니트로글리세린 등 약물 치료, 스텐트 삽입술 3. 심근경색 특징 :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 심장 근육이 괴사하는 질환입니다. 급성 흉통, 호흡곤란, 식은땀, 실신 등이 나타나며 응급 치료가 필요합니다. 관리법 : 즉각적인 응급처치 후 관상동맥 중재술(스텐트 삽입), 약물 치료 4. 심부전 특징 : 심장이 혈액을 효과적으로 펌프질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호흡곤란, 쉽게 피로함, 다리와 발목 부종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관리법 : 염분 제한, 체중 관리, 이뇨제 및 심장 기능 강화 약물 복용 5. 부정맥 특징 :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상태로, 빠르게 뛰거나 느려질 수 있습니다. 심계항진, 어지럼증, 실신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관리법 : 항부정맥제 복용, 심박동기 삽입, 전기충격 치료 6. 심장판막질환 특징 : 심장 판막이 제대...

심혈관계 질환 초기 증상, 이럴 땐 병원에 꼭 가야 합니다.

이미지
심혈관계 질환 은 조기 발견이 생명과 직결되는 질환입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초기 증상을 간과하거나 가볍게 넘기곤 합니다. 오늘은 심혈관 질환이 보내는 경고 신호 와 반드시 병원에 가야 하는 순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심혈관계 질환이란 무엇인가? 심혈관계 질환 은 심장과 혈관에 발생하는 질병을 의미합니다. 혈액 순환을 담당하는 심장과 혈관에 문제가 생기면 산소와 영양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질환으로는 고혈압, 심근경색, 협심증, 심부전, 부정맥 등이 있습니다. 심혈관 질환 초기 증상, 이렇게 나타납니다 심혈관 질환은 초기 증상이 미미하거나 일반적인 피로감으로 오해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증상이 지속되거나 반복된다면 즉시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1. 가슴 통증 또는 답답함 흉부 중앙이나 왼쪽 가슴에서 뻐근하거나 조이는 느낌이 든다면 협심증 이나 심근경색 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통증이 목, 턱, 어깨, 팔로 퍼질 경우 매우 위험한 신호입니다. 2. 호흡곤란 가벼운 운동이나 휴식 시에도 숨이 차다면 심부전 또는 심장판막질환 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심장이 혈액을 제대로 펌프질하지 못할 때 호흡곤란이 자주 발생합니다. 3. 쉽게 피로해지는 증상 평소보다 쉽게 피로를 느끼거나 무기력하다면 심장의 펌프 기능 저하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는 심부전 초기 증상 으로 볼 수 있습니다. 4. 손발 저림 및 차가움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손발이 차갑고 저리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는 말초동맥질환 또는 심장질환의 초기 징후일 수 있습니다. 5. 어지럼증과 실신 갑작스러운 어지럼증이나 실신은 부정맥 이나 심장 박동 이상 으로 인한 혈류 공급 문제일 수 있습니다. 즉각적인 진단이 필요합니다. 6. 부종(붓기) 발목, 다리, 복부에 부종이 생기고 잘 빠지지 않는다면 심부전 이나 심장판막질환 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체내 수분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

심혈관 질환 종류별 원인과 치료법 완벽 가이드

이미지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가 바로 심혈관 질환 입니다. 고혈압, 심근경색, 부정맥 등 다양한 심혈관계 질환은 방치할 경우 생명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심혈관 질환 종류 와 각각의 원인 , 그리고 최신 치료법 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정리한 완벽 가이드를 소개합니다. 심혈관 질환이란? 심혈관 질환 은 심장과 혈관에 생기는 다양한 질병을 아우르는 말로, 혈액 순환에 장애를 일으켜 신체 여러 장기에 영향을 미칩니다. 주로 심장 질환과 동맥 질환이 포함되며, 조기 발견과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심혈관 질환 종류별 원인과 치료법 1. 고혈압 원인 : 유전적 요인, 짜게 먹는 식습관, 스트레스, 비만, 운동 부족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치료법 : - 생활습관 개선 : 염분 제한, 체중 감량, 금연 - 약물 치료 : 이뇨제, 칼슘 채널 차단제, ACE 억제제 등을 사용합니다. 2. 관상동맥질환(협심증, 심근경색) 원인 : 동맥경화로 인한 관상동맥 협착, 고지혈증, 흡연, 고혈압, 당뇨병 등이 있습니다. 치료법 : - 약물 치료 : 항혈소판제, 스타틴(콜레스테롤 저하제) - 시술 및 수술 : 스텐트 삽입술(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PCI),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술(CABG) 3. 심부전 원인 :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심근병증, 판막질환으로 심장의 펌프 기능이 저하됩니다. 치료법 : - 약물 치료 : ACE 억제제, 베타차단제, 이뇨제 - 기기 치료 : 인공심장박동기, 심장 재동기화 치료(CRT) - 중증 시 : 심장이식 고려 4. 부정맥 원인 : 심장 전기 신호의 이상, 심장 구조적 문제, 전해질 불균형, 갑상선 질환 등 치료법 : - 약물 치료 : 항부정맥제, 항응고제 - 시술 : 카테터 절제술(Ablation), 인공심박동기 삽입 5. 심장판막질환 원인 : 노화, 류마티스열, 감염성 심내막염, 선천성 기형 치료법 : ...

가장 흔한 심혈관계 질환 10가지와 증상 알아보기

이미지
  우리나라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심혈관 질환 입니다. 평소 특별한 증상이 없다가도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데요. 오늘은 일상에서 자주 발생하는 심혈관 질환 종류 와 각 질환의 주요 증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심혈관 질환이란 무엇인가요? 심혈관 질환 은 심장과 혈관에 생기는 모든 질병을 통칭합니다. 주로 심장으로 가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경우가 많으며, 방치할 경우 심장마비나 뇌졸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 예방이 필수입니다. 가장 흔한 심혈관 질환 10가지 아래는 전 세계적으로 많이 발생하며 주의가 필요한 흔한 심혈관 질환 10가지 입니다. 1. 고혈압 혈압이 정상 수치보다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별다른 증상이 없어 '조용한 살인자'라고 불리며, 심장과 혈관에 부담을 줍니다. 2. 관상동맥질환(협심증, 심근경색)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발생합니다. 협심증은 흉통이 주증상이고, 심근경색은 혈관이 완전히 막혀 심장이 괴사하는 치명적인 질환입니다. 3. 심부전 심장이 혈액을 온몸에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피로감, 호흡곤란, 부종이 흔한 증상입니다. 4. 부정맥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질환입니다. 심장이 너무 빠르게 혹은 느리게 뛰며 어지럼증과 실신, 심한 경우 심장마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5. 심장판막질환 심장 내 판막이 좁아지거나(협착증), 닫히지 않는(역류증) 문제입니다. 호흡곤란, 피로감, 흉통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6. 대동맥류 대동맥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파열 시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부나 가슴 통증이 주 증상입니다. 7. 말초동맥질환 다리나 팔의 동맥이 좁아져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걸을 때 다리에 통증이 생기는 파행이 특징입니다. 8. 심근병증 심장 근육이 두꺼워지거나 딱딱해져 심장이 제 ...

심혈관계 질환 종류 총정리! 초기 증상과 예방 방법까지

이미지
현대인의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심혈관계 질환 입니다. 잘못된 식습관,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심혈관 질환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요.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하게 관리하면 충분히 예방이 가능한 질환입니다. 오늘은 꼭 알아야 할 심혈관 질환 종류 와 초기 증상 , 그리고 예방 방법 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심혈관계 질환이란? 심혈관계 질환 은 심장과 혈관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통칭합니다. 혈액을 심장에서 온몸으로 운반하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거나, 심장 기능이 저하되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심혈관 질환은 갑작스럽게 증상이 악화되거나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심혈관 질환 종류 심혈관계 질환은 종류가 다양하며, 각 질환마다 증상과 위험 요소가 다릅니다. 아래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대표 질환을 정리했습니다. 1. 관상동맥질환(협심증, 심근경색)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발생합니다. 협심증은 일시적인 혈류 장애로 흉통이 발생하고, 심근경색은 혈관이 완전히 막혀 심장 근육이 괴사하는 심각한 상태입니다. 2. 심부전 심장이 혈액을 제대로 펌프질하지 못해 전신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피로감, 호흡곤란, 부종이 주요 증상입니다. 3. 부정맥 심장의 박동이 불규칙하거나 비정상적으로 빠르거나 느린 상태입니다. 심계항진, 어지럼증, 실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심장판막증 심장의 판막이 제대로 열리고 닫히지 않아 심장 내 혈류가 방해를 받는 질환입니다. 호흡곤란과 흉통, 부종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고혈압 혈관에 지속적으로 높은 압력이 가해지는 상태입니다. 특별한 초기 증상이 없지만, 장기간 방치 시 심장, 신장, 뇌혈관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6. 동맥경화증 혈관 내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고 딱딱해지는 질환입니다. 심근경색, 뇌졸중의 주요 ...

AAA 의학약어, 정확한 뜻과 알아야 할 모든 것

이미지
의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약어는 무척 다양합니다. 그중에서도 AAA 의학약어 는 여러 상황에서 접할 수 있는 용어입니다. 특히, 심혈관계 질환과 관련하여 자주 등장하는 이 약어는 정확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오늘은 AAA의 뜻 과 실제 진료 및 건강관리에서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AAA 의학약어의 뜻은? AAA 는 주로 Abdominal Aortic Aneurysm 의 약자로 사용됩니다. 우리말로는 복부대동맥류 라고 하며, 복부에 위치한 대동맥이 확장되거나 늘어나면서 동맥류가 형성되는 질환입니다. 대동맥은 심장에서부터 혈액을 전신으로 운반하는 가장 큰 혈관으로, 이곳에 문제가 발생하면 생명에 큰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복부대동맥류(AAA), 왜 위험한가? 복부대동맥류(AAA) 는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동맥류가 커지면 파열 위험이 증가하고, 한 번 파열되면 출혈로 인한 사망률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주요 증상 복부나 등 아래쪽의 지속적인 통증 배에 맥박이 느껴지는 덩어리 급작스러운 복통과 허리 통증 파열 시 저혈압과 쇼크 증상 AAA의 주요 원인과 위험 요인 복부대동맥류는 주로 아래와 같은 원인과 위험 요인으로 발생합니다. 고령 : 보통 65세 이상의 남성에게서 흔하게 발견됩니다. 흡연 :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AAA 발생 위험이 현저히 높습니다. 고혈압 : 혈압이 높을수록 동맥 벽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져 동맥류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가족력 : 가족 중 AAA 병력이 있는 경우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AAA 진단 방법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정기검진 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요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복부 초음파 : 가장 간편하고 널리 사용되는 진단법입니다. CT 스캔 : 정확한 크기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수술 계획...

혈액검사 준비 방법: 검사 전 주의할 점

이미지
  안녕하세요! 😊 건강 검진을 앞두고 계신가요? 혈액검사는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검사 전 준비가 매우 중요**합니다. 잘못된 준비로 인해 **수치가 변하거나 부정확한 결과**가 나올 수도 있어요. 오늘은 **혈액검사 전 반드시 지켜야 할 주의사항**을 알려드릴게요! 💉 1. 혈액검사 전 반드시 지켜야 할 5가지 혈액검사 전에 **이 5가지만 지키면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 ✅ 공복 유지 : 검사 전 최소 8~12시간 금식 ✅ 물은 적당히 섭취 : 탈수를 방지 ✅ 술·담배 금지 : 검사 전날 절대 금지 ✅ 과격한 운동 피하기 : 검사 전날 무리한 운동 X ✅ 복용 중인 약 확인 : 의사와 상담 필수 2. 혈액검사 전 음식 & 음료 섭취 주의사항 📌 **혈액검사 정확도를 높이려면?** 검사 전 **공복 유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 1) 공복 유지가 필요한 검사 혈당, 콜레스테롤, 간 기능 검사 등은 **검사 전 8~12시간 금식**해야 합니다. 🍬 **혈당 검사** (공복 혈당, 당화혈색소) 💖 **콜레스테롤 검사** (LDL, HDL, 중성지방) 🩸 **간 기능 검사** (AST, ALT, 빌리루빈) 🚫 2) 피해야 할 음식 & 음료 다음 음식들은 **검사 전 피해야** 합니다. ☕ **카페인 음료 (커피, 녹차, 홍차, 콜라 등)** 🍷 **알코올 (검사 24시간 전 금지)** 🍔 **기름진 음식 (튀김, 패스트푸드 등)** 🍩 **설탕이 많은 음식 (초콜릿, 디저트 등)*...

혈액검사 필수 항목 30가지 총정리

이미지
  안녕하세요! 😊 건강 검진을 받을 때 **어떤 혈액검사를 해야 하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혈액검사는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로, **필수 항목 30가지**를 알면 **정확한 건강 관리**가 가능합니다! 1. 혈액검사가 중요한 이유 혈액검사를 통해 **신체 건강 상태, 영양소 균형, 질병 위험 요소**를 확인할 수 있어요. 📌 혈액검사가 중요한 이유 ✅ 질병 조기 발견 (당뇨, 빈혈, 간질환 등) ✅ 체내 영양소 불균형 확인 ✅ 심혈관 건강 및 신장 기능 점검 ✅ 면역력 및 감염 여부 파악 2. 혈액검사 필수 항목 30가지 다음은 **건강 체크를 위해 필수적으로 검사해야 하는 혈액검사 항목**입니다. 🩸 1) 일반 혈액 검사 (CBC) 백혈구(WBC) : 면역력 및 감염 여부 적혈구(RBC) : 빈혈 여부 혈색소(Hb) : 산소 운반 능력 혈소판(PLT) : 혈액 응고 기능 💖 2) 간 기능 검사 (LFT) AST (GOT) : 간 손상 여부 ALT (GPT) : 간 질환 가능성 총 빌리루빈 : 간 기능 이상 여부 알부민 : 간에서 단백질 합성 상태 🦷 3) 신장 기능 검사 크레아티닌 (Cr) : 신장 기능 평가 BUN (요소질소) : 신장 건강 체크 🍬 4) 혈당 검사 공복 혈당 : 당뇨 여부 당화혈색소 (HbA1c) : 최근 3개월간 평균 혈당 ⚖️ 5) 지질 검사 (콜레스테롤) LDL (나쁜 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