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T 수치 이상이 조산과 연관된 이유
혈소판(Platelet, PLT)은 출혈을 막고 혈액 응고를 조절하는 중요한 세포입니다. 특히 임신 중에는 혈액응고 시스템이 매우 민감하게 작동하며, PLT 수치 이상은 조산(preterm birth)의 위험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임산부의 PLT 수치 변화와 그로 인한 조산 위험, 주의해야 할 질환, 혈소판 감소증의 임상적 의의 등을 표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PLT 수치의 정상 범위와 임신 중 변화
구분 | 정상 범위 (cells/μL) | 비고 |
---|---|---|
비임신 여성 | 150,000 ~ 400,000 | 정상 성인 기준 |
임신 초기 | 약간 감소 가능 | 혈액 희석 현상 |
임신 후기 | 100,000 ~ 150,000 | 정상범위보다 낮더라도 경미한 경우는 흔함 |
임신 중 혈액량 증가로 인해 PLT 수치는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 있지만, 100,000 미만으로 감소하거나, 점차 감소 추세를 보일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2. PLT 수치가 조산과 연관된 주요 이유
PLT 이상 현상 | 영향 | 조산과의 관련성 |
---|---|---|
혈소판 감소증 (Thrombocytopenia) | 출혈 위험 증가 | 태반 조기박리, 출혈성 합병증으로 조산 유발 |
임신성 고혈압/자간전증 | PLT 수치 급감 | 조기 유도분만 필요 → 조산 위험 ↑ |
면역성 혈소판감소증 (ITP) | 자가면역 공격으로 혈소판 파괴 | 태반 기능 저하 및 태아 성장 제한 → 조산 유도 |
3. 혈소판 수치별 위험도 평가
PLT 수치 | 의학적 평가 | 조산 및 출혈 위험 |
---|---|---|
≥ 150,000 | 정상 | 낮음 |
100,000 ~ 149,000 | 경증 감소 (임신 중 흔함) | 주의 필요 (정기 추적검사 권장) |
< 100,000 | 중등도 이상 감소 | 출혈·조산 위험 ↑, 분만 방식 결정에 영향 |
< 50,000 | 중증 감소 | 자연분만 금기, 제왕절개 시 수혈 필요 가능성 ↑ |
4. PLT 감소 시 의심할 수 있는 질환
- 임신성 혈소판감소증 (가장 흔하고 경미)
- 자간전증(Pre-eclampsia)
- HELLP 증후군 (Hemolysis, Elevated Liver enzymes, Low Platelets)
- ITP (면역성 혈소판감소증)
- DIC (파종성 혈관 내 응고장애)
5. 혈소판 수치 이상 시 임산부 관리 전략
- 정기적인 CBC 모니터링 (2~4주 간격)
- PLT 수치가 100,000 미만인 경우: 고위험 임신으로 분류
- 자간전증 병력 확인 및 혈압 체크
- 전문의 상담 후 분만 방식 결정
- 수혈 준비 또는 면역글로불린 투여 고려 (중증 ITP 시)
결론
혈소판(PLT) 수치의 이상은 임신 중 조산 위험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단순히 '수치가 낮다'는 것만으로도 출산 방식이나 시기를 바꿔야 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입니다.
특히 자간전증이나 HELLP 증후군과 같은 합병증이 동반될 경우, 산모와 태아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빠른 대응이 필요합니다.
임신 중 혈소판 수치가 경미하게 낮아졌더라도, 증상 유무와 경과를 함께 평가해 조산 위험을 미리 예측하고 안전한 출산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