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025의 게시물 표시

단백뇨 수치별 해석: 소변으로 신장 이상을 가장 먼저 감지하는 방법

이미지
단백뇨(Proteinuria) 는 소변에 단백질이 검출되는 상태로, 신장 기능 이상을 조기에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 입니다. 정상적인 신장은 단백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지만, 사구체나 세뇨관에 이상이 생기면 혈액 속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단백뇨의 정상 수치, 소변 검사 결과 해석, 신장 질환과의 관계 를 표로 정리해드립니다. --- 1. 단백뇨 정상 수치 기준 검사 항목 정상 범위 의미 소변 단백 정성 검사 (Dipstick) Negative (음성) 소변에 단백질 없음 소변 단백 정량 검사 < 150mg/day 정상 범위 내 배출 소변 ACR (Albumin/Creatinine 비율) < 30 mg/g 정상 또는 경도 상승 ※ ACR은 단일 소변으로 측정 가능한 가장 민감한 신장 기능 지표입니다. --- 2. 소변 단백 정성검사(Dipstick) 수치 해석 결과 상태 의심되는 원인 Negative (-) 정상 건강한 신장 Trace 미량 일시적 단백뇨 (운동, 탈수 등) 1+ 경도 상승 사구체 손상 초기, 당뇨병 초기 2+ 중등도 상승 신증후군 가능성, 만성 신장병 3+ 이상 고도 상승 진행성 신부전, 사구체신염 --- 3. 소변 ACR (Albumin/Creatinine Ratio) 기준 ...

NSE 수치별 해석: 신경내분비계 종양 진단 지표

이미지
  1. NSE란? 2. 임상적 활용 3. 정상 수치 4. 수치별 해석 5. NSE 상승 원인 6. 해석 시 주의사항 7. 추적 검사 활용 8. 결론 🔍 1. NSE란? NSE (Neuron-Specific Enolase) 는 신경세포와 신경내분비세포에서 발현되는 효소 단백질로, 신경내분비계 종양의 종양표지자 로 사용됩니다. 특히 소세포폐암, 신경모세포종, 갑상선 수질암 등에서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 2. 임상적 활용 🧬 신경내분비 종양 진단 보조 📉 항암치료 반응 평가 🔁 재발 감시 및 추적 검사 📊 3. 정상 수치 검사 대상 정상 범위 (ng/mL) 성인 일반인 0 ~ 12.5 ※ 검사 방법(ELISA, ECLIA 등)에 따라 기준값이 다를 수 있습니다. 📈 4. NSE 수치별 해석 NSE 수치 해석 의심 질환 < 12.5 ng/mL 정상 특이사항 없음 12.5 ~ 20 ng/mL 경도 상승 경미한 신경내분비 반응 또는 비특이적 20 ~ 50 ng/mL 중등도 상승 소세포폐암, 신경모세포종 등 의심 > 50 ng/mL 고도 상승 진행성 신경내분비 종양, 전이 가능성 ⬆ 5. NSE 상승 원인 🫁 소세포폐암 (Small cell lung cancer) 🧠 신경모세포종 (Neuroblastoma) 🦋 갑상선 수질암 (Medullary thyroid cancer) ?...

eGFR 수치별 해석: 만성 신부전 단계와 신장 기능 관리법

이미지
eGFR(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추정 사구체여과율) 은 신장이 혈액 속 노폐물을 얼마나 잘 걸러내는지를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신장 기능 평가에서 가장 핵심적인 지표 입니다. 혈액검사에서 Creatinine(크레아티닌) 수치를 바탕으로 나이, 성별, 체중 등을 반영해 자동 계산되며, 만성 신장질환(CKD)의 병기 구분, 투석 시작 시점 결정, 약물 용량 조절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 1. eGFR 수치 계산이 중요한 이유 ✅ 단순 Creatinine 수치보다 개인 맞춤 해석이 가능 ✅ CKD 병기(1~5단계) 판단 가능 ✅ 초기 신장 기능 저하를 조기에 발견 ✅ 약물 복용 시 용량 조절 참고 지표 --- 2. eGFR 정상 수치 및 CKD 단계 구분 eGFR 수치 (mL/min/1.73㎡) CKD 단계 신장 기능 해석 임상적 의미 > 90 1단계 정상 또는 고기능 단백뇨, 혈뇨 동반 시 CKD 가능성 60 ~ 89 2단계 경도 감소 조기 신기능 저하, 추적 관찰 필요 30 ~ 59 3단계 중등도 감소 확실한 신기능 저하, 생활관리 중요 15 ~ 29 4단계 중증 감소 투석 준비 단계, 식이·약물 관리 필수 < 15 5단계 말기 신부전 투석 또는 신장이식 고려 시점 💡 eGFR은 나이가 많을수록 자연 감소할 수 있으며, 60 이상 유지되면 일반적으로 기능이 양호하다고 판단합니다. --- 3. eGFR과 Creatin...

Creatinine 수치별 해석: 신장 기능 저하를 판단하는 가장 신뢰도 높은 지표

이미지
  Creatinine(크레아티닌) 은 근육에서 에너지를 사용할 때 생성되는 노폐물로, 오직 신장을 통해 배설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는 신장의 여과 기능(GFR)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표 로 사용되며, 신부전 진단의 핵심 지표로 평가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Creatinine의 정상 수치, 수치별 해석, 사구체 여과율(eGFR)과의 관계, 신부전 단계 구분까지 표로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 --- 1. Creatinine 정상 수치 기준 대상 정상 범위 (mg/dL) 성인 남성 0.7 ~ 1.3 성인 여성 0.6 ~ 1.1 고령자 0.6 ~ 1.5 (근육량에 따라 다름) 💡 근육량이 많을수록 Cr 수치가 높게 나올 수 있으므로, 개인의 체형·성별 고려 가 중요합니다. --- 2. Creatinine 수치별 해석표 Cr 수치 (mg/dL) 해석 의심되는 상태 0.6 ~ 1.3 정상 신장 여과기능 양호 1.4 ~ 2.0 경도 상승 경증 신기능 저하, 탈수, 약물 영향 2.1 ~ 5.0 중등도 상승 만성 신부전, 약물성 신장 손상 > 5.0 고도 상승 중증 신부전, 투석 필요 고려 --- 3. eGFR(추정 사구체 여과율)과 신부전 단계 eGFR 수치 (mL/min/1.73m²) CKD 단계 의학적 해석 > 90...

BUN 수치별 해석: 신장 기능 저하를 알려주는 초기 경고

이미지
  BUN (Blood Urea Nitrogen, 혈중 요소질소) 은 단백질 대사의 최종 산물인 요소(Urea)가 혈중에 얼마나 존재하는지를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요소는 간에서 만들어져 신장을 통해 배설되기 때문에, BUN 수치는 신장 기능의 초기 이상을 감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 로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BUN의 정상 수치, 수치별 해석, 의심 질환, Creatinine과의 비교를 통해 신장 상태를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 1. BUN 정상 수치 기준 대상 정상 범위 (mg/dL) 성인 7 ~ 20 고령자 7 ~ 25 (노화로 다소 증가 가능) ※ BUN은 단백질 섭취, 탈수 상태, 약물 등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해석 시 상황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2. BUN 수치별 해석표 BUN 수치 (mg/dL) 해석 의심 가능한 원인 7 ~ 20 정상 정상적인 신장 기능 21 ~ 30 경도 상승 탈수, 고단백 식사, 초기 신기능 저하 31 ~ 50 중등도 상승 급성 신부전, 심부전, 출혈 > 50 고도 상승 만성 신부전, 요로 폐쇄, 요독증 < 7 저하 간기능 저하, 단백질 결핍, 과잉 수분섭취 --- 3. BUN 상승 원인 정리 원인 분류 대표적 원인 신장 문제 급성 또는 ...

Amylase 수치별 해석: 췌장과 침샘 건강을 보여주는 소화 효소

이미지
Amylase(아밀라아제) 는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소화 효소로, 주로 췌장과 침샘 에서 분비됩니다. 혈액에서 Amylase 수치가 상승하면 췌장염은 물론 침샘염, 장 질환 등 다양한 이상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mylase 정상 수치부터 수치별 해석, 의심 질환, Lipase와의 차이점까지 표 중심으로 상세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1. Amylase 정상 수치 기준 검사 항목 정상 범위 (U/L) 혈청 Amylase 30 ~ 110 소변 Amylase 3 ~ 30 U/h ※ 검사실 및 기기 종류에 따라 기준치가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반드시 검사결과지의 참고 범위를 확인하세요. --- 2. Amylase 수치별 해석표 수치 (U/L) 의학적 해석 의심 질환 30 ~ 110 정상 췌장 및 침샘 기능 정상 111 ~ 300 경도 상승 급성 췌장염 초기, 침샘염, 신부전, 장 폐색 301 ~ 1,000 중등도 상승 급성 췌장염, 위궤양, 복막염, 십이지장염 > 1,000 고도 상승 췌장 괴사, 심한 췌장염, 췌장 종양 --- 3. Amylase 상승 원인 정리 분류 구체적 질환 췌장 관련 급성 췌장염, 만성 췌장염, 췌장 낭종 타 장기 관련 침샘염(이하선염), 장 폐색, 위장관 천공 기타 ...

Lipase 수치별 해석: 급성 췌장염의 진단을 돕는 효소 지표

이미지
Lipase(리파아제) 는 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 효소로, 주로 음식물 속 지방을 분해 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췌장에 염증이나 손상이 발생하면 이 효소가 혈액 속으로 유출되어 수치가 상승합니다. 특히 급성 췌장염 진단에서 Lipase 수치는 가장 민감하고 특이적인 지표 로 평가받고 있으며, Amylase보다 진단 정확도가 높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Lipase 정상 수치부터 수치별 해석, 의심 질환, Amylase와의 비교 등을 표로 정리해 드립니다. --- 1. Lipase 정상 수치 대상 정상 범위 (U/L) 성인 13 ~ 60 기관에 따라 최대 140까지 인정 ※ 검사 방법 및 장비, 참고 범위는 기관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반드시 검사결과지의 기준치와 비교 하여 해석해야 합니다. --- 2. Lipase 수치별 해석표 Lipase 수치 (U/L) 의학적 해석 의심 질환 13 ~ 60 정상 정상 췌장 기능 61 ~ 180 경도 상승 초기 감염, 만성 췌장염, 위장염, 신부전 181 ~ 600 중등도 상승 급성 췌장염 초기, 담석성 췌장염, 장 천공 > 600 고도 상승 급성 췌장염, 췌장 괴사, 췌장암 --- 3. Lipase 상승 원인 정리 원인 범주 대표 질환 췌장 질환 급성 췌장염, 만성 췌장염, 췌장암 담도계 문제 담관 폐쇄, 담낭...

Bilirubin 수치별 해석: 황달의 원인을 구별하는 간 기능 지표

이미지
Bilirubin(빌리루빈) 은 적혈구가 분해될 때 생기는 색소로, 주로 간에서 처리되어 담즙으로 배출됩니다. 이 과정에 이상이 생기면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올라가며, 피부나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는 '황달' 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총빌리루빈(Total Bilirubin), 직접(Direct), 간접(Indirect) 빌리루빈의 차이 와 각 수치별 해석, 의심 질환을 표로 정리하여 황달 원인을 쉽게 감별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 1. Bilirubin 정상 수치 기준 검사 항목 정상 수치 (mg/dL) 총 빌리루빈 (Total Bilirubin) 0.2 ~ 1.2 직접 빌리루빈 (Direct) 0.0 ~ 0.3 간접 빌리루빈 (Indirect) 0.2 ~ 0.9 ※ 직접형은 수용성으로 간에서 가공된 상태, 간접형은 간에서 처리되기 전의 형태입니다. --- 2. Bilirubin 수치별 해석표 총 빌리루빈 수치 해석 의심 질환 0.2 ~ 1.2 mg/dL 정상 정상 간 기능 1.3 ~ 3.0 mg/dL 경도 상승 지방간, 경증 간염, 길버트 증후군 3.1 ~ 10 mg/dL 중등도 상승 급성 간염, 용혈성 빈혈, 담도 정체 10 mg/dL 이상 고도 상승 폐쇄성 황달, 전격성 간염, 간경화 말기 --- 3. 직접형 vs 간접형 빌리루빈 상승 비교 구분 ...

ALP 수치별 해석: 간담도계 이상부터 뼈 건강까지 확인하는 지표

이미지
ALP (Alkaline Phosphatase,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는 간, 담도, 뼈, 장, 신장 등에 존재하는 효소로, 주로 간담도계 또는 뼈 관련 질환 에서 수치 상승이 나타납니다. 혈액검사에서 ALP 수치가 높게 나왔을 때, 그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려면 동반 수치 및 증상, 연령, 성별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ALP의 정상범위, 수치별 해석, 주요 질환 및 구별 포인트를 표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 1. ALP 정상 수치 기준 대상 정상 수치 (U/L) 성인 남성 40 ~ 130 성인 여성 35 ~ 105 성장기 소아·청소년 100 ~ 350 ※ ALP는 성장기나 임신, 폐경기 이후 여성에서도 생리적으로 다소 높을 수 있습니다. --- 2. ALP 수치별 해석표 ALP 수치 (U/L) 해석 의심 가능한 원인 35 ~ 130 정상 간담도 및 뼈 기능 정상 131 ~ 300 경도 상승 담관 정체, 골절 회복기, 약물 영향 301 ~ 700 중등도 상승 담도 폐쇄, 간전이암, 골질환 > 700 고도 상승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골종양, 파제트병 --- 3. ALP 상승 원인 정리 원인 범주 상세 질환 및 상황 간담도계 담관 폐쇄, 담석증, 담도염, 간 전이암 골 질환 ...

ALT 수치별 해석: 간세포 손상을 알려주는 간 기능 지표

이미지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는 간세포 안에 주로 존재하는 효소로, 간이 손상되면 혈액 내로 유출되어 수치가 상승합니다. ALT는 과거 GP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라는 이름으로도 불렸으며, 간 기능 검사의 대표 항목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ALT 수치의 정상 범위부터 수치별 해석, 의심 가능한 질환, AST와의 비교, 그리고 간 건강 관리법까지 표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 1. ALT 정상 수치 기준 대상 정상 범위 (U/L) 성인 남성 10 ~ 40 성인 여성 7 ~ 35 소아 10 ~ 40 ※ 기준 범위는 검사실 및 분석 장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2. ALT 수치별 해석표 ALT 수치 (U/L) 해석 의심 가능한 상태 10 ~ 40 정상 정상 간 기능 41 ~ 100 경도 상승 지방간, 음주, 약물성 간 손상, B형간염 보유자 101 ~ 300 중등도 상승 급성 간염, 독성 간 손상, 지방간염 (NASH) 301 ~ 1,000 고도 상승 심한 간염, 간세포 괴사, 간 독성 약물 반응 > 1,000 심각한 상승 전격성 간염, 약물중독, 이식 전 간 기능 부전 --- 3. ALT 상승 원인 정리 원인 분류 구체적 질환 및...

GGT 수치별 해석: 술과 관련된 간 문제를 말해주는 신호

이미지
GGT (Gamma-Glutamyl Transferase) , 한국어로는 감마GT 는 간, 담도, 췌장 등에 존재하는 효소로, 특히 알코올 섭취와 관련된 간 기능 이상 을 가장 잘 반영하는 혈액 지표 중 하나입니다. GGT 수치가 높다는 것은 단순한 간염이 아닌, 알코올성 지방간, 담도 폐쇄, 약물 간염 등의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GGT 수치의 정상 범위부터 수치별 해석, 의심 가능한 질환과 생활습관 개선 방법까지 표 중심으로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1. GGT 정상 수치 기준 대상 정상 범위 (U/L) 성인 남성 10 ~ 70 성인 여성 7 ~ 50 ※ 참고치 범위는 검사기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여성은 남성보다 대체로 수치가 낮습니다. --- 2. GGT 수치별 해석표 GGT 수치 (U/L) 해석 의심 가능한 상태 10 ~ 70 (남성) / 7 ~ 50 (여성) 정상 간 기능 정상 71 ~ 200 경도 상승 지방간, 알코올 섭취, 흡연, 약물 복용 201 ~ 500 중등도 상승 알코올성 간질환, 담도염, 간독성 약물 반응 > 500 고도 상승 담관 폐쇄, 간 전이암, 심각한 간 손상 --- 3. GGT 수치 상승 원인 정리 범주 상세 원인 알코올 관련 과도한 음주,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염 간 질...

AST 수치별 해석: 간 손상의 정도를 판단하는 간기능 지표

이미지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는 간세포, 심장, 근육, 신장 등 다양한 조직에 존재하는 효소로, 주로 세포 손상 시 혈액으로 유출되며 수치가 상승 합니다. 혈액검사에서 흔히 확인되는 간 기능 지표이며, 과거에는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ST 수치의 정상 범위부터 수치별 해석, 의심 가능한 질환 및 ALT와의 비교까지 표 중심으로 상세하게 안내드립니다. --- 1. AST 정상 수치 기준 대상 정상 범위 (U/L) 성인 남성 10 ~ 40 성인 여성 10 ~ 35 소아 10 ~ 50 ※ AST 수치는 검사 방법이나 의료기관에 따라 기준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 2. AST 수치별 해석표 AST 수치 (U/L) 해석 가능한 원인 10 ~ 40 정상 간세포 손상 없음 41 ~ 100 경도 상승 지방간, 약물 복용, 음주, 바이러스성 간염 초기 101 ~ 300 중등도 상승 급성 간염, 알코올성 간 손상, 근육 손상 301 ~ 1,000 고도 상승 중증 간염, 간 괴사, 심근경색 > 1,000 심각한 상승 전격성 간염, 횡문근융해증, 독성 간 손상 --- 3. AST 상승 원인 정리 분류 대표 질환...

HbA1c 수치별 해석: 평균 혈당 수치로 당뇨병 여부 확인하기

이미지
HbA1c (당화혈색소) 는 지난 2~3개월간의 평균 혈당 상태를 반영하는 검사로, 당뇨병 진단 및 혈당 조절 평가에 매우 중요한 지표 입니다. 공복혈당은 하루에도 수차례 변동되지만, HbA1c는 보다 장기적인 혈당 경향을 파악할 수 있어 당뇨병 진단과 추적관리에 필수적인 검사 로 활용됩니다. --- 1. HbA1c란? 항목 설명 검사명 HbA1c (Hemoglobin A1c, 당화혈색소) 검사 목적 2~3개월간의 평균 혈당 반영 측정 원리 적혈구 속 헤모글로빈과 포도당이 결합한 비율 측정 검사 장점 식사 여부와 관계없이 측정 가능 --- 2. HbA1c 수치별 해석표 HbA1c (%) 해석 의학적 의미 < 5.7% 정상 혈당 조절 양호, 당뇨병 아님 5.7 ~ 6.4% 당뇨 전단계 생활습관 개선으로 예방 가능 >= 6.5% 당뇨병 2회 이상 측정 시 진단 가능 --- 3. HbA1c 수치와 평균 혈당 환산 HbA1c (%) 평균 혈당 (mg/dL) 5.0% 97 mg/dL 5.5% 111 mg/dL 6.0% 126 mg/dL 6.5% 140 mg/dL 7.0% 154 mg/dL ...

ESR 수치별 해석: 만성 염증성 질환 파악하는 방법

이미지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 한글로는 적혈구 침강속도 는 혈액 내 적혈구가 일정 시간 동안 가라앉는 속도를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이 수치는 체내에 만성적인 염증이 있는지 여부를 간접적으로 반영 하기 때문에, 자가면역질환이나 만성 감염 질환의 진단과 추적관찰에 널리 활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ESR의 정상 수치부터 수치별 해석, 의심 가능한 질환, CRP와의 비교까지 표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 1. ESR 정상 수치 기준 구분 정상 범위 (mm/hr) 성인 남성 0 ~ 15 mm/hr 성인 여성 0 ~ 20 mm/hr 65세 이상 0 ~ 30 mm/hr (노화에 따른 증가 가능) 소아 0 ~ 10 mm/hr ※ 여성, 고령자, 임신 중에는 ESR이 생리적으로 다소 상승할 수 있습니다. --- 2. ESR 수치별 해석표 ESR 수치 (mm/hr) 해석 의심 가능한 상태 0 ~ 20 정상 정상 면역 반응 21 ~ 40 경도 상승 가벼운 염증, 감기, 철결핍성 빈혈, 생리 41 ~ 70 중등도 상승 만성 염증성 질환, 자가면역질환 71 이상 고도 상승 결핵,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골수종, 암 --- 3. ESR 상승의 원인 정리 원인 범주 대표 질환 또는 상태 감염 ...

CRP 수치별 해석: 염증 수치로 알아보는 질환의 신호

이미지
  CRP (C-Reactive Protein, C-반응 단백질) 은 우리 몸에서 염증이 생겼을 때 간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로, 혈액검사에서 염증의 존재와 정도 를 판단하는 데 매우 유용한 지표입니다. CRP는 감염뿐 아니라 자가면역 질환, 조직 손상, 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상승할 수 있으며, 수치에 따라 경도 염증부터 중증 질환까지 감별이 가능합니다. --- 1. CRP 정상 수치 기준 검사 유형 정상 수치 용도 일반 CRP 0.0 ~ 0.5 mg/dL 급성 염증 확인 고감도 CRP (hs-CRP) 0.0 ~ 0.3 mg/dL 심혈관 질환 위험도 평가 ※ 참고치(Ref. range)는 검사기관에 따라 소폭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2. CRP 수치별 해석표 CRP 수치 (mg/dL) 염증 단계 의심되는 질환 또는 상태 0.0 ~ 0.5 정상 특별한 염증 반응 없음 0.5 ~ 1.0 경미한 상승 경도 감염, 스트레스, 회복기 1.0 ~ 3.0 저도 염증 비만, 대사증후군, 심혈관 위험도 ↑ 3.1 ~ 10.0 중등도 염증 바이러스 감염, 자가면역질환 (류마티스 등) 10.1 ~ 100.0 고도 염증 세균 감염, 폐렴, 맹장염, 수술 후 반응 > 100.0 중증 염증 패혈증,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SIRS), 괴사 ...

ESR 수치로 보는 만성 염증 질환 감별법

이미지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적혈구 침강속도) 는 혈액 내 염증 정도를 확인하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ESR은 만성 염증 질환, 자가면역 질환, 감염성 질환 등에서 상승 하는 경향이 있으며, 단독 수치보다는 증상과 함께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SR 수치의 해석 방법 과, 만성 염증 질환 감별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를 표와 함께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1. ESR 수치의 정상 범위 구분 정상 범위 (mm/hr) 성인 남성 0 ~ 15 성인 여성 0 ~ 20 65세 이상 0 ~ 30 ESR 수치는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 임신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 ESR 상승의 주요 원인 분류 질환/상태 만성 염증 류마티스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염증성 장질환 자가면역질환 SLE, 다발성 근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만성 감염 결핵, 골수염, 심내막염 종양 다발성 골수종, 림프종, 기타 악성종양 기타 노화, 임신, 빈혈, 고지혈증 --- 3. ESR 수치와 질환 관련성 요약 ESR 수치 의심 질환 진단 참고 20 ~ 40 만성염증, 초기 자가면역질환 CRP와 함께 해석 40 ~ 70 활동성 류마티스관절염, 결핵 ...

WBC 수치별 해석: 백혈구 수치로 알아보는 감염 신호

이미지
  WBC (White Blood Cell, 백혈구) 는 우리 몸의 면역 체계에서 감염이나 염증에 반응하는 주요 세포입니다. 혈액검사에서 WBC 수치는 몸에 어떤 종류의 감염, 염증, 면역 질환 또는 혈액질환이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WBC 수치별 해석과 함께 의심 가능한 질환 및 상태 를 표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특히 건강검진이나 CBC(전혈구검사) 결과지를 해석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 1. WBC 정상 수치 대상 정상 범위 (μL) 성인 4,000 ~ 10,000 /μL 신생아 9,000 ~ 30,000 /μL 소아 5,000 ~ 15,000 /μL ※ 백혈구 수치는 나이, 스트레스, 운동, 시간대 등에 따라 다소 변동될 수 있습니다. --- 2. WBC 수치별 해석표 WBC 수치 (μL) 분류 의심 질환 및 상태 < 4,000 저백혈구증 (Leukopenia) - 바이러스 감염 (간염, 독감) - 골수 기능 저하 - 자가면역 질환 - 항암제, 방사선 치료 후 4,000 ~ 10,000 정상 면역 기능이 정상 범위 내에 있음 10,001 ~ 20,000 경도 고백혈구증 - 급성 세균 감염 (폐렴, 요로감염) - 염증성 질환 (장염, 관절염 등) - 스트레스, 운동 직후 - 흡연자 ...

혈소판 수치와 자가면역 질환의 연결고리

이미지
  혈소판(Platelet, PLT) 은 혈액 응고를 담당하는 중요한 세포입니다. 혈소판 수치가 낮아지는 경우, 흔히 출혈성 질환이나 골수 이상을 떠올리지만, 실제로는 자가면역 질환과의 연관성 이번 포스팅에서는 혈소판 수치와 자가면역 질환 간의 관계 --- 1. 혈소판(PLT) 정상 범위 구분 정상 수치 (cells/μL) 성인 기준 150,000 ~ 400,000 수치가 100,000 미만 이면 ‘혈소판 감소증(Thrombocytopenia)’으로 간주되며, 자가면역 원인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 2. 자가면역 질환과 혈소판 수치 저하의 메커니즘 질환명 혈소판 감소 기전 ITP (특발성 혈소판감소증) 자가항체가 혈소판을 파괴 SLE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혈소판 표면 항원에 대한 자가항체 → 파괴 류마티스관절염 염증 반응 및 면역 복합체가 혈소판에 영향 APS (항인지질증후군) 혈소판 응집 증가 → 소비성 감소 --- 3. 혈소판 수치 변화로 자가면역 질환을 의심해야 하는 상황 PLT 수치가 지속적으로 100,000 미만 다른 혈구 수치(Hb, WBC)도 동반 이상 멍, 점상출혈(petechiae), 잇몸 출혈 등 출혈 증상 관절통, 피부 발진, 피로감 등 전신 증상 동반 --- 4. 혈소판 감소를 동반하는 자가면역 질환 요약 질환 혈소판 감소 여부 진단 특징 ITP ● 매우 흔함 혈소판 감소 단독, 골수는 정상 ...

MCV 수치로 보는 빈혈 유형 감별법

이미지
  MCV (Mean Corpuscular Volume) 는 적혈구 1개의 평균 크기를 나타내는 혈액검사 지표입니다. 빈혈이 발생했을 때, MCV 수치만으로도 그 원인을 상당 부분 감별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MCV 수치 범위에 따른 빈혈 유형의 분류 와, 각 경우에 의심할 수 있는 질환들을 표로 정리해드립니다. --- 1. MCV 수치의 정상 범위 구분 정상 범위 (fL) 모든 연령 (성인 기준) 80 ~ 100 MCV 수치에 따라 빈혈은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MCV < 80 fL: 소구성 빈혈 (Microcytic) MCV 80~100 fL: 정구성 빈혈 (Normocytic) MCV > 100 fL: 대구성 빈혈 (Macrocytic) --- 2. MCV 수치로 감별하는 빈혈 유형 MCV 범위 빈혈 유형 주요 원인 < 80 fL 소구성 빈혈 철결핍성 빈혈, 지중해빈혈, 만성질환 80 ~ 100 fL 정구성 빈혈 출혈, 신장질환, 재생불량성 빈혈, 만성질환 > 100 fL 대구성 빈혈 비타민 B12 결핍, 엽산 결핍, 간질환, 알코올 중독 --- 3. MCV 외에 함께 봐야 할 보조 지표 항목 설명 의미 MCH 적혈구 1개당 헤모글로빈 양 낮으면 철 결핍 가능성 ↑ MCHC 적혈구 내 헤모글로빈 농도 저하 시 저색소성 빈혈 의...

AST 수치별 해석: 간 수치의 의미와 건강 상태를 읽는 법

이미지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는 간세포를 비롯해 심장, 근육, 신장, 뇌 등에 존재하는 효소로, 이들 조직이 손상되면 혈액 속으로 유출되어 수치가 증가합니다. AST는 과거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라고도 불렸으며, 오늘날 간 기능 검사의 기본 항목 중 하나로 널리 활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AST 수치의 정상 범위, 수치별 해석, 주요 질환과의 연관성 을 표를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ALT와의 비교, AST 상승 시 조치법까지 안내드립니다. --- 1. AST 정상 수치 기준 대상 정상 수치 (U/L) 성인 남성 10 ~ 40 성인 여성 10 ~ 35 소아 10 ~ 50 ※ AST 수치는 검사실, 측정 기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반드시 해당 기관의 기준치를 확인해야 합니다. --- 2. AST 수치별 해석표 AST 수치 (U/L) 해석 가능한 원인 10 ~ 40 정상 정상 간 기능 41 ~ 100 경도 상승 지방간, 음주, 바이러스성 간염 초기, 격한 운동 후 101 ~ 300 중등도 상승 급성 간염, 약물성 간손상, 근육 손상 301 ~ 1,000 고도 상승 독성 간염, 심한 근육질환, 심근경색 가능성 1,000 이상 중증 상승 심한 약물중독, 횡문근융해증, 전격성 간염 --- 3. AST ...

hs-CRP 수치별 해석: 심혈관 위험도 예측

이미지
1. hs-CRP란? 2. hs-CRP의 임상적 활용 3. 정상 수치 4. 수치별 해석 5. 상승 원인 6. 심혈관 질환과의 관계 7. hs-CRP 낮추는 방법 8. 결론 🔍 1. hs-CRP란? hs-CRP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은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 로, 체내의 미세한 염증 상태를 민감하게 감지합니다. 특히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 예측 지표로 사용되며, 일반적인 CRP 검사보다 10배 이상 민감합니다. 🩺 2. 임상적 활용 ❤️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 위험도 평가 🔥 만성 저등급 염증 확인 💊 생활습관 개선 효과 모니터링 📊 3. 정상 수치 hs-CRP 수치 (mg/L) 해석 < 1.0 낮은 위험도 1.0 ~ 3.0 중간 위험도 > 3.0 높은 위험도 ※ 10 mg/L 이상이면 급성 감염 또는 질환 감별 필요 📈 4. 수치별 해석 hs-CRP 수치 의미 해석 < 1.0 mg/L 낮은 염증 건강한 상태, 심혈관 위험 낮음 1.0 ~ 3.0 mg/L 중등도 염증 조심해야 할 위험 단계 3.0 ~ 10.0 mg/L 고위험 염증성 질환, 심장질환 위험 ↑ > 10.0 mg/L 급성 염증 가능성 감염, 외상 등 의심 → 정밀검사 필요 ⬆ 5. hs-CRP 상승 ...

PSA 수치별 해석: 전립선암 선별검사의 기준

이미지
  1. PSA란? 2. PSA의 임상적 활용 3. 정상 수치 4. 수치별 해석 5. PSA 상승 원인 6. 연령별 해석 기준 7. Free PSA와 비율 해석 8. 결론 🔍 1. PSA란? PSA (Prostate-Specific Antigen) 는 전립선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혈액 내 PSA 농도는 전립선 건강 상태를 반영 하는 주요 지표입니다. 주로 전립선암의 선별검사 로 사용되며, 양성 비대증, 전립선염 등에서도 상승 할 수 있습니다. 🧪 2. PSA의 임상적 활용 🩺 전립선암 조기 진단 📉 암 치료 후 재발 여부 추적 🔍 전립선 비대증과 감별 📊 3. PSA 정상 수치 연령 정상 수치 (ng/mL) 40~49세 0 ~ 2.5 50~59세 0 ~ 3.5 60~69세 0 ~ 4.5 70세 이상 0 ~ 6.5 ※ 단일 수치보다는 추세(상승 속도, doubling time)가 중요합니다. 📈 4. PSA 수치별 해석 PSA 수치 의미 의심 상황 < 4.0 ng/mL 정상 대부분의 경우 안전 4.0 ~ 10.0 경계 암 또는 비대증 가능성 > 10.0 고위험 전립선암 가능성 ↑ ⬆ 5. PSA 상승 원인 🧬 전립선암 🧠 전립선 비대증 (BPH) 🔥 전립선염 (감염) 💉 전립선 마사지, 채뇨 후 ...

AFP 수치별 해석: 간암 조기 발견 가능성

이미지
  1. AFP란? 2. AFP의 임상적 활용 3. 정상 수치 4. 수치별 해석 5. AFP 상승 원인 6. 비암성 상승 원인 7. 간암 모니터링 시 AFP 사용법 8. 결론 🔍 1. AFP란? AFP (Alpha-Fetoprotein) 은 태아 간, 난황낭, 소화관에서 생성되는 단백질로, 성인에서는 간암, 생식세포종양 등에서 수치가 상승 할 수 있는 종양표지자입니다. 🧪 2. AFP의 임상적 활용 🧬 간세포암(간암) 진단 및 추적 🧫 난소암, 고환암 등의 생식세포종양 평가 🩺 간경변 환자의 간암 감시 📊 3. 정상 수치 기준 검사 대상 정상 수치 (ng/mL) 성인 0 ~ 10 신생아 수백 ~ 수천까지 가능 (점차 감소) ※ 수치는 검사법, 연령, 임신 여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4. AFP 수치별 해석 AFP 수치 의미 해석 < 10 ng/mL 정상 간암 가능성 낮음 10 ~ 100 경도 상승 간질환, 양성 간세포 증식 가능 100 ~ 400 중등도 상승 간암 가능성 ↑, 영상검사 병행 필요 > 400 고도 상승 간세포암 강력 의심 ⬆ 5. AFP 상승 가능한 악성 질환 🧬 간세포암 (Hepatocellular carcinoma) 🧫 고환암 (비정상 생식세포종양) 🎯 난소의 배아종양 🧠 위장관, 폐의 일부 암종 ...

CA 19-9 수치별 해석: 췌장암 및 소화기암 감별

이미지
  1. CA 19-9란? 2. CA 19-9의 임상적 활용 3. 정상 수치 4. 수치별 해석 5. CA 19-9 상승 가능 질환 6. 비암성 원인 7. 치료 전후 모니터링 8. 결론 🔍 1. CA 19-9란? CA 19-9 (Carbohydrate Antigen 19-9) 는 췌장암, 담도암, 위장관 암 등에서 상승하는 종양표지자 입니다. 췌장암 진단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혈액 검사 항목이며, 암의 조기 발견보다는 치료 후 추적에 효과적 입니다. 🧪 2. 임상적 활용 🩺 췌장암 보조 진단 📉 항암치료 후 반응 평가 🔍 재발 감시 및 전이 여부 파악 ⚠️ 선별검사로는 사용하지 않음 📊 3. 정상 수치 검사 대상 정상 수치 (U/mL) 일반 성인 0 ~ 37 U/mL ※ CA 19-9은 일부 유전형에서 생성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Lewis 항원 음성) 📈 4. CA 19-9 수치별 해석 CA 19-9 수치 의미 해석 < 37 U/mL 정상 정상 범위 내 37 ~ 100 U/mL 경계 양성 질환 가능성 있음 100 ~ 1000 U/mL 중등도 상승 췌장암 또는 담도계 암 의심 > 1000 U/mL 고도 상승 진행성 암, 전이 가능성 높음 ⬆ 5. CA 19-9 상승 가능한 암 🧬 췌장암 (가장 흔함) 🟢 담낭암, 담도암 🧫 위암, 대장암 🧠 난소암, 폐암 ...

Hb 수치와 철 결핍 빈혈의 조기 감별법

이미지
Hb (Hemoglobin, 헤모글로빈) 은 적혈구 안에 있는 산소 운반 단백질로, 빈혈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 입니다. 특히 철 결핍성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은 가장 흔한 빈혈 형태로, Hb 수치가 낮아지기 전에 이미 시작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Hb 수치와 함께 조기에 철 결핍 빈혈을 감별할 수 있는 혈액 지표들 과, 주의해야 할 증상들을 표로 정리하여 안내해드립니다. --- 1. Hb 수치 정상 범위와 빈혈 기준 구분 정상 Hb 수치 (g/dL) 빈혈 기준 성인 남성 13.5 ~ 17.5 < 13.0 성인 여성 12.0 ~ 15.5 < 12.0 임산부 11.0 ~ 14.0 < 11.0 하지만 Hb 수치가 아직 정상 범위에 있어도, 이미 철분 결핍이 시작된 경우 가 많습니다. 이럴 땐 추가 지표들을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 --- 2. 철 결핍 빈혈 조기 감별을 위한 혈액 지표 검사 항목 정상 범위 철 결핍 시 변화 MCV (적혈구 평균 용적) 80 ~ 100 fL ↓ (소구성 빈혈) MCH (적혈구 내 Hb 양) 27 ~ 33 pg ↓ Ferritin (저장 철분) 20 ~ 250 ng/mL 초기부터 ↓ Serum Iron 60 ~ 170 μg/dL ↓ TIBC (총 철결합능) 250 ~ 450 μg/d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