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lirubin 수치별 해석: 황달의 원인을 구별하는 간 기능 지표

Bilirubin(빌리루빈)은 적혈구가 분해될 때 생기는 색소로, 주로 간에서 처리되어 담즙으로 배출됩니다. 이 과정에 이상이 생기면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올라가며, 피부나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는 '황달'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총빌리루빈(Total Bilirubin), 직접(Direct), 간접(Indirect) 빌리루빈의 차이와 각 수치별 해석, 의심 질환을 표로 정리하여 황달 원인을 쉽게 감별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

1. Bilirubin 정상 수치 기준

검사 항목 정상 수치 (mg/dL)
총 빌리루빈 (Total Bilirubin) 0.2 ~ 1.2
직접 빌리루빈 (Direct) 0.0 ~ 0.3
간접 빌리루빈 (Indirect) 0.2 ~ 0.9

※ 직접형은 수용성으로 간에서 가공된 상태, 간접형은 간에서 처리되기 전의 형태입니다.

---

2. Bilirubin 수치별 해석표

총 빌리루빈 수치 해석 의심 질환
0.2 ~ 1.2 mg/dL 정상 정상 간 기능
1.3 ~ 3.0 mg/dL 경도 상승 지방간, 경증 간염, 길버트 증후군
3.1 ~ 10 mg/dL 중등도 상승 급성 간염, 용혈성 빈혈, 담도 정체
10 mg/dL 이상 고도 상승 폐쇄성 황달, 전격성 간염, 간경화 말기
---

3. 직접형 vs 간접형 빌리루빈 상승 비교

구분 직접형 상승 간접형 상승
정의 수용성, 간에서 가공된 형태 지용성, 간에서 처리되기 전 형태
의심 질환 담도폐쇄, 간세포 손상, 간염 용혈성 빈혈, 길버트 증후군, 신생아 황달
소변색 변화 진한 갈색 (담즙 배출 증가) 변화 없음 (수용성 아님)
치료 방향 간·담도계 이상 치료 기저질환 (빈혈 등) 치료
---

4. 황달의 원인별 분류

분류 대표 원인
전간성 (Pre-hepatic) 용혈성 빈혈, 수혈 반응, 선천성 용혈질환
간성 (Hepatic) 간염, 간경화, 간암, 약물성 간염
후간성 (Post-hepatic) 담관 폐쇄, 담석증, 담도암, 췌장암
---

5. Bilirubin 상승 시 함께 확인할 검사

  • AST / ALT – 간세포 손상 여부 확인
  • ALP / GGT – 담도 폐쇄 여부 평가
  • CBC – 용혈성 빈혈 동반 여부
  • 복부 초음파 / CT – 담관 폐쇄, 간비대 등 구조적 이상 확인
---

6. 생활 속 관리법

  • ✅ 알코올 제한, 간 독성 약물 복용 시 주의
  • ✅ 고지방, 고콜레스테롤 식단 피하기
  • ✅ 간염 예방 접종 및 감염병 관리
  • ✅ 담석 예방 위해 수분 섭취 충분히 하기
  • ✅ 황달 증상(피부·눈 노래짐, 진한 소변) 시 즉시 병원 방문
---

결론

빌리루빈 수치는 단순한 수치 이상이 아니라, 간, 담도, 적혈구 기능의 문제를 반영하는 민감한 지표입니다. 황달이 관찰되거나 빌리루빈이 상승했다면 직접형 vs 간접형 빌리루빈의 구분이 가장 중요하며, 이에 따라 원인과 치료 방향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정기적인 간 기능 검사를 통해 빌리루빈 수치를 체크하고, 증상이 동반될 경우 빠르게 원인을 확인해 건강을 지키시길 바랍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척추측만증의 원인과 증상: 올바른 자세 교정 가이드

Lipid Profile(지질 검사): 콜레스테롤 관리와 심혈관질환 예방

CA 19-9 수치별 해석: 췌장암부터 양성 질환까지 정확하게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