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뇨 수치별 해석: 소변으로 신장 이상을 가장 먼저 감지하는 방법
단백뇨(Proteinuria)는 소변에 단백질이 검출되는 상태로, 신장 기능 이상을 조기에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정상적인 신장은 단백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지만, 사구체나 세뇨관에 이상이 생기면 혈액 속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단백뇨의 정상 수치, 소변 검사 결과 해석, 신장 질환과의 관계를 표로 정리해드립니다.
---1. 단백뇨 정상 수치 기준
검사 항목 | 정상 범위 | 의미 |
---|---|---|
소변 단백 정성 검사 (Dipstick) | Negative (음성) | 소변에 단백질 없음 |
소변 단백 정량 검사 | < 150mg/day | 정상 범위 내 배출 |
소변 ACR (Albumin/Creatinine 비율) | < 30 mg/g | 정상 또는 경도 상승 |
※ ACR은 단일 소변으로 측정 가능한 가장 민감한 신장 기능 지표입니다.
---2. 소변 단백 정성검사(Dipstick) 수치 해석
결과 | 상태 | 의심되는 원인 |
---|---|---|
Negative (-) | 정상 | 건강한 신장 |
Trace | 미량 | 일시적 단백뇨 (운동, 탈수 등) |
1+ | 경도 상승 | 사구체 손상 초기, 당뇨병 초기 |
2+ | 중등도 상승 | 신증후군 가능성, 만성 신장병 |
3+ 이상 | 고도 상승 | 진행성 신부전, 사구체신염 |
3. 소변 ACR (Albumin/Creatinine Ratio) 기준
ACR 수치 (mg/g) | 해석 | 의미 |
---|---|---|
< 30 | 정상 또는 미량 | 신장 기능 정상 또는 경도 이상 |
30 ~ 300 | 미세알부민뇨 | CKD 1~2단계 가능성, 조기 진단 중요 |
> 300 | 현성 단백뇨 | 사구체 손상 확실, CKD 진행 |
💡 ACR 수치는 크레아티닌 기준으로 보정되어, 수분 섭취량이나 소변량 변화에 영향을 덜 받습니다.
---4. 단백뇨 원인 정리
원인 범주 | 예시 |
---|---|
일시적 단백뇨 | 운동 직후, 발열, 스트레스, 탈수 |
기능성 단백뇨 | 고령, 기립성 단백뇨 (젊은 남성) |
병적 단백뇨 | 당뇨병성 신증, 사구체신염, 루푸스, 고혈압성 신병증 |
약물성 | NSAIDs, 항생제, 조영제 등 |
5. 단백뇨 발견 시 함께 확인해야 할 검사
- 혈중 Creatinine & eGFR: 신장 여과능 확인
- 소변 침사 검사: 적혈구, 원주체 유무 확인
- 혈압 측정: 고혈압 동반 여부
- 혈당: 당뇨병성 신증 감별
- 신장 초음파: 구조적 이상 확인
6. 단백뇨 관리 및 예방
- ✔ 염분 섭취 줄이고 물 충분히 마시기
- ✔ 고단백식 조절 (신장 기능에 따라)
- ✔ 혈압·혈당 철저히 조절
- ✔ 신독성 약물 복용 시 정기 모니터링
- ✔ 1년에 한 번은 소변 검사 받기 (고위험군은 6개월)
결론
단백뇨는 신장 이상을 가장 빠르게 감지할 수 있는 경고 신호입니다. 정기적인 소변 검사(Dipstick 또는 ACR)를 통해 이상 여부를 조기에 확인하면, CKD 진행을 막을 수 있습니다.
정상 수치라도 혈압, 당뇨, 고령, 약물 복용 중이라면 소변 단백 확인은 필수이며, 단백뇨가 지속된다면 반드시 신장 전문의의 정밀 평가가 필요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