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N 수치별 해석: 신장 기능 저하를 알려주는 초기 경고

 

BUN (Blood Urea Nitrogen, 혈중 요소질소)은 단백질 대사의 최종 산물인 요소(Urea)가 혈중에 얼마나 존재하는지를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요소는 간에서 만들어져 신장을 통해 배설되기 때문에, BUN 수치는 신장 기능의 초기 이상을 감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BUN의 정상 수치, 수치별 해석, 의심 질환, Creatinine과의 비교를 통해 신장 상태를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

1. BUN 정상 수치 기준

대상 정상 범위 (mg/dL)
성인 7 ~ 20
고령자 7 ~ 25 (노화로 다소 증가 가능)

※ BUN은 단백질 섭취, 탈수 상태, 약물 등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해석 시 상황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2. BUN 수치별 해석표

BUN 수치 (mg/dL) 해석 의심 가능한 원인
7 ~ 20 정상 정상적인 신장 기능
21 ~ 30 경도 상승 탈수, 고단백 식사, 초기 신기능 저하
31 ~ 50 중등도 상승 급성 신부전, 심부전, 출혈
> 50 고도 상승 만성 신부전, 요로 폐쇄, 요독증
< 7 저하 간기능 저하, 단백질 결핍, 과잉 수분섭취
---

3. BUN 상승 원인 정리

원인 분류 대표적 원인
신장 문제 급성 또는 만성 신부전, 사구체 기능 저하
순환기 원인 심부전, 쇼크, 저혈압
탈수 설사, 구토, 이뇨제 과용, 발열
기타 고단백 식사, 위장관 출혈, 화상
---

4. BUN vs Creatinine 비교

항목 BUN Creatinine
정상 범위 7 ~ 20 mg/dL 0.6 ~ 1.3 mg/dL
주된 대사 경로 단백질 대사 (간 → 신장) 근육 대사
신장 특이성 중간 (탈수 영향 多) 높음 (신기능 직접 반영)
BUN/Cr 비율 20:1 이상이면 탈수 또는 위장관 출혈 의심
---

5. BUN 수치 상승 시 체크리스트

  • ✅ 최근 탈수 유발 요인(운동, 발열, 설사 등) 확인
  • ✅ 단백질 섭취량 과도하지 않았는지 확인
  • ✅ 동반 상승한 Cr, eGFR 수치 확인
  • ✅ 소변량 감소, 부종, 피로감 등 동반 증상 여부
---

6. 수치 관리 방법

  • ✔ 충분한 수분 섭취로 탈수 방지
  • ✔ 저단백 식단 유지 (신장 질환 환자)
  • ✔ 고염식/가공식품 줄이기
  • ✔ 혈압, 혈당 관리로 신장 손상 예방
  • ✔ 약물(진통제, 이뇨제) 과용 주의
---

결론

BUN 수치는 신장 기능, 수분 상태, 단백질 대사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혈액 검사 지표입니다. 단독 해석보다는 Creatinine, eGFR, 소변검사 등과 함께 보는 것이 정확하며, 특히 **BUN이 높으면서 Cr도 상승**할 경우 신장 손상의 가능성이 크므로 반드시 원인 확인이 필요합니다.

정기적인 신장기능 검사를 통해 조기에 관리하면 만성 신부전으로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척추측만증의 원인과 증상: 올바른 자세 교정 가이드

Lipid Profile(지질 검사): 콜레스테롤 관리와 심혈관질환 예방

CA 19-9 수치별 해석: 췌장암부터 양성 질환까지 정확하게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