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K 수치별 해석: 근육 손상과 심장질환 평가
🔍 1. CK란?
CK(Creatine Kinase)는 근육과 뇌, 심장에서 주로 발견되는 효소로, 세포 손상 시 혈액 내로 유출되어 수치가 상승합니다.
특히 심장질환, 근육질환, 격렬한 운동 후 상승하는 대표적 지표입니다.
🧬 2. CK의 분류
CK 종류 | 의미 | 주요 위치 |
---|---|---|
CK-MM | 골격근 손상 지표 | 근육 |
CK-MB | 심장근육 손상 지표 | 심근 |
CK-BB | 뇌 손상 지표 | 중추신경계 |
📊 3. 정상 수치
검사 항목 | 정상 범위 | 단위 |
---|---|---|
Total CK (남) | 52 ~ 336 | U/L |
Total CK (여) | 38 ~ 176 | U/L |
CK-MB | < 6% (또는 < 5 ng/mL) | % 또는 ng/mL |
📈 4. CK 수치별 해석
CK 수치 | 해석 | 의심 상황 |
---|---|---|
정상 | 정상 근육 상태 | - |
↑ (1~3배) | 경도 상승 | 운동 후, 근육염 초기 |
↑↑ (3~10배 이상) | 중등도~중증 손상 | 근육병, 심근경색, 횡문근융해증 |
⬆ 5. CK 상승 원인
- 🏋 격렬한 운동 후 (일시적 상승)
- 🦵 근육 손상, 근육염, 근육병증
- ❤️ CK-MB 상승: 심근경색, 심장 손상
- 🔥 전신 감염, 패혈증
- 💉 근육 주사, 외상
- 💊 스타틴계 약물 부작용
🩺 6. 임상 활용 예시
상황 | CK 해석 |
---|---|
운동 후 CK 500 | 일시적 상승, 휴식 후 정상화 확인 필요 |
흉통 + CK-MB 상승 | 심근경색 가능 → Troponin과 동시 해석 |
전신통증 + CK > 5000 | 횡문근융해증 의심 → 신장 기능 검사 병행 |
🔬 7. CK vs Troponin 비교
항목 | CK-MB | Troponin |
---|---|---|
민감도 | 중간 | 높음 |
특이도 | 심장 + 골격근 | 심장 특이 |
지속시간 | 1~2일 | 5~14일 |
임상 활용 | 급성기 초기 지표 | 심근 손상 추적 |
✅ 8. 결론
CK 수치는 근육 손상, 심장질환, 전신 질환에서 유용한 생화학적 지표입니다.
특히 CK-MB는 심근경색에서, Total CK는 횡문근융해증 감별에 중요하며, Troponin과 병행하여 심장질환 감별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치가 나타날 경우, 근육, 심장, 신장 관련 질환을 고려한 정밀 검진 및 조기 치료가 필요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