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inine 수치별 해석: 신장 기능 저하를 판단하는 가장 신뢰도 높은 지표

 

Creatinine(크레아티닌)은 근육에서 에너지를 사용할 때 생성되는 노폐물로, 오직 신장을 통해 배설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는 신장의 여과 기능(GFR)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표로 사용되며, 신부전 진단의 핵심 지표로 평가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Creatinine의 정상 수치, 수치별 해석, 사구체 여과율(eGFR)과의 관계, 신부전 단계 구분까지 표로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

---

1. Creatinine 정상 수치 기준

대상 정상 범위 (mg/dL)
성인 남성 0.7 ~ 1.3
성인 여성 0.6 ~ 1.1
고령자 0.6 ~ 1.5 (근육량에 따라 다름)

💡 근육량이 많을수록 Cr 수치가 높게 나올 수 있으므로, 개인의 체형·성별 고려가 중요합니다.

---

2. Creatinine 수치별 해석표

Cr 수치 (mg/dL) 해석 의심되는 상태
0.6 ~ 1.3 정상 신장 여과기능 양호
1.4 ~ 2.0 경도 상승 경증 신기능 저하, 탈수, 약물 영향
2.1 ~ 5.0 중등도 상승 만성 신부전, 약물성 신장 손상
> 5.0 고도 상승 중증 신부전, 투석 필요 고려
---

3. eGFR(추정 사구체 여과율)과 신부전 단계

eGFR 수치 (mL/min/1.73m²) CKD 단계 의학적 해석
> 90 1단계 정상 또는 고기능 (단백뇨 여부 확인 필요)
60 ~ 89 2단계 경도 감소 (조기 관리 필요)
30 ~ 59 3단계 중등도 신부전
15 ~ 29 4단계 중증 신부전 (투석 준비 단계)
< 15 5단계 말기 신부전 (투석 또는 이식 필요)

🔍 **eGFR은 Cr 수치 + 나이 + 성별 + 체중 등을 반영하여 계산됩니다.**

---

4. Creatinine 수치 상승 원인 정리

원인 범주 구체적 원인
신장 질환 만성 신부전, 급성 신손상, 사구체 신염
순환기 문제 심부전, 쇼크, 신혈류 저하
약물/독성 NSAIDs, 항생제, 조영제
기타 근육 손상, 탈수, 고단백 식사
---

5. Creatinine 상승 시 확인해야 할 것

  • ✅ 최근 수분 섭취 부족 또는 탈수 상태
  • ✅ 근육량 많은 체형인지 (운동 후 일시적 상승 가능)
  • ✅ 복용 중인 약물 (진통제, 조영제 등)
  • ✅ 동반된 증상 (부종, 소변량 감소, 피로 등)
  • ✅ eGFR 계산하여 신부전 단계 확인
---

6. Creatinine 수치 낮추는 관리법

  • ✔ 충분한 수분 섭취로 신장 혈류 유지
  • ✔ 염분과 단백질 섭취 조절 (신장 질환자)
  • ✔ 고혈압, 당뇨 조절로 신장 기능 보호
  • ✔ 신장 독성이 있는 약물 복용 시 정기 검사
  • ✔ 주기적인 eGFR 모니터링
---

결론

Creatinine 수치는 신장의 여과 기능을 가장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검사입니다. 정상보다 상승한 경우, 반드시 eGFR 계산과 함께 해석하고, 필요 시 **단백뇨 검사, 소변 검사, 영상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초기에는 무증상일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건강검진으로 Cr 수치와 eGFR을 확인하여 신장 건강을 사전에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척추측만증의 원인과 증상: 올바른 자세 교정 가이드

Lipid Profile(지질 검사): 콜레스테롤 관리와 심혈관질환 예방

CA 19-9 수치별 해석: 췌장암부터 양성 질환까지 정확하게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