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FR 수치별 해석: 만성 신부전 단계와 신장 기능 관리법

eGFR(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추정 사구체여과율)은 신장이 혈액 속 노폐물을 얼마나 잘 걸러내는지를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신장 기능 평가에서 가장 핵심적인 지표입니다.

혈액검사에서 Creatinine(크레아티닌) 수치를 바탕으로 나이, 성별, 체중 등을 반영해 자동 계산되며, 만성 신장질환(CKD)의 병기 구분, 투석 시작 시점 결정, 약물 용량 조절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

1. eGFR 수치 계산이 중요한 이유

  • ✅ 단순 Creatinine 수치보다 개인 맞춤 해석이 가능
  • ✅ CKD 병기(1~5단계) 판단 가능
  • ✅ 초기 신장 기능 저하를 조기에 발견
  • ✅ 약물 복용 시 용량 조절 참고 지표
---

2. eGFR 정상 수치 및 CKD 단계 구분

eGFR 수치 (mL/min/1.73㎡) CKD 단계 신장 기능 해석 임상적 의미
> 90 1단계 정상 또는 고기능 단백뇨, 혈뇨 동반 시 CKD 가능성
60 ~ 89 2단계 경도 감소 조기 신기능 저하, 추적 관찰 필요
30 ~ 59 3단계 중등도 감소 확실한 신기능 저하, 생활관리 중요
15 ~ 29 4단계 중증 감소 투석 준비 단계, 식이·약물 관리 필수
< 15 5단계 말기 신부전 투석 또는 신장이식 고려 시점

💡 eGFR은 나이가 많을수록 자연 감소할 수 있으며, 60 이상 유지되면 일반적으로 기능이 양호하다고 판단합니다.

---

3. eGFR과 Creatinine의 관계

항목 Creatinine eGFR
측정 방식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 크레아티닌 + 나이 + 성별 등 고려
정상 범위 남 0.7~1.3 / 여 0.6~1.1 60~120 이상
해석 정확도 낮음 (근육량 영향) 높음 (보정된 수치)
신장 기능 평가 기초 자료 핵심 진단 기준
---

4. CKD 병기별 주요 관리 전략

CKD 단계 추천 관리
1~2단계 혈압·혈당 조절, 단백뇨 여부 정기 검사, 수분 섭취 유지
3단계 저단백 식단, 나트륨 제한, 약물 용량 조절, 신장 전문의 진료
4단계 철분·칼슘·비타민D 보충, 인 섭취 제한, 투석 준비
5단계 신대체요법(투석/이식), 식이·수분·약물 철저히 조절
---

5. eGFR 수치 향상을 위한 실천 팁

  • ✅ 물 충분히 마시기 (1.5~2L/일)
  • ✅ 단백질 과잉섭취 피하기 (필요시 저단백식)
  • ✅ 정기적인 혈압·혈당 관리
  • ✅ 이뇨제, 진통제 등 신독성 약물 자제
  • ✅ 정기적인 Cr & eGFR 검사 받기
---

결론

eGFR 수치는 신장 기능 저하 여부를 가장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필수 검사입니다. 혈중 크레아티닌만으로는 신기능을 과소평가할 수 있으므로, eGFR을 반드시 함께 확인해야 정확한 진단과 병기 구분이 가능합니다.

만성 신부전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기 때문에, eGFR이 60 미만으로 떨어지기 전에 생활습관을 교정하고, 필요 시 신장 전문 진료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건강검진에서 Cr 수치가 정상이더라도, eGFR 수치까지 반드시 확인해보세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척추측만증의 원인과 증상: 올바른 자세 교정 가이드

Lipid Profile(지질 검사): 콜레스테롤 관리와 심혈관질환 예방

CA 19-9 수치별 해석: 췌장암부터 양성 질환까지 정확하게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