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E 수치별 해석: 신경내분비계 종양 진단 지표
🔍 1. NSE란?
NSE (Neuron-Specific Enolase)는 신경세포와 신경내분비세포에서 발현되는 효소 단백질로, 신경내분비계 종양의 종양표지자로 사용됩니다.
특히 소세포폐암, 신경모세포종, 갑상선 수질암 등에서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 2. 임상적 활용
- 🧬 신경내분비 종양 진단 보조
- 📉 항암치료 반응 평가
- 🔁 재발 감시 및 추적 검사
📊 3. 정상 수치
검사 대상 | 정상 범위 (ng/mL) |
---|---|
성인 일반인 | 0 ~ 12.5 |
※ 검사 방법(ELISA, ECLIA 등)에 따라 기준값이 다를 수 있습니다.
📈 4. NSE 수치별 해석
NSE 수치 | 해석 | 의심 질환 |
---|---|---|
< 12.5 ng/mL | 정상 | 특이사항 없음 |
12.5 ~ 20 ng/mL | 경도 상승 | 경미한 신경내분비 반응 또는 비특이적 |
20 ~ 50 ng/mL | 중등도 상승 | 소세포폐암, 신경모세포종 등 의심 |
> 50 ng/mL | 고도 상승 | 진행성 신경내분비 종양, 전이 가능성 |
⬆ 5. NSE 상승 원인
- 🫁 소세포폐암 (Small cell lung cancer)
- 🧠 신경모세포종 (Neuroblastoma)
- 🦋 갑상선 수질암 (Medullary thyroid cancer)
- 🦴 전이성 신경내분비 종양
- 🧪 용혈된 혈액 샘플 → 위양성 가능
⚠️ 6. 해석 시 주의사항
- 🩸 용혈된 검체는 NSE 수치를 비정상적으로 올릴 수 있음
- 🔍 진단보다는 치료 반응 추적에 더 적합
- 💉 단독 사용보다는 ProGRP, Chromogranin A 등 병행 검사 권장
🔁 7. 치료 및 추적 검사 시 활용
시점 | NSE 변화 | 해석 |
---|---|---|
항암 전 | 고수치 | 질병 활성 상태 |
치료 중 | 감소 | 치료 반응 양호 |
치료 후 | 재상승 | 재발 또는 전이 가능성 |
✅ 8. 결론
NSE 수치는 신경내분비계 암종의 추적과 치료 반응 평가에 매우 유용한 종양표지자입니다.
단독 수치보다는 ProGRP, CT/MRI, 임상소견과 병행 해석이 필요하며,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재발 여부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NSE가 상승했을 경우, 원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반드시 정밀검사 및 전문의 진료를 병행하시길 권장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