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alcitonin 수치별 해석: 세균감염과 패혈증 감별
- 1. Procalcitonin(PCT)란?
- 2. 왜 중요한가?
- 3. 정상 수치
- 4. 수치별 해석
- 5. 수치 상승 원인
- 6. 임상에서의 활용 예시
- 7. CRP vs PCT 비교
- 8. 결론
🔍 1. Procalcitonin(PCT)란?
Procalcitonin(PCT)은 칼시토닌 전구체 단백질로, 세균 감염 시에만 특이적으로 상승하는 염증 지표입니다.
정상 상태에서는 거의 측정되지 않으며, 패혈증과 중증 세균 감염 진단에 매우 유용합니다.
📌 2. 왜 중요한가?
- 🧪 세균 vs 바이러스 감별: 세균 감염 시 급격히 상승
- 🛡 패혈증 조기 진단: PCT ≥ 2 ng/mL 이상이면 고위험
- 💊 항생제 사용 여부 판단: 불필요한 사용 방지 가능
📊 3. 정상 수치 기준
Procalcitonin 수치 (ng/mL) | 해석 |
---|---|
< 0.05 | 정상, 감염 없음 |
0.05 ~ 0.5 | 의심 또는 경계 수준 |
0.5 ~ 2.0 | 세균감염 가능성 ↑ |
> 2.0 | 고위험 패혈증 가능 |
📈 4. 수치별 해석
PCT 수치 | 의미 | 임상적 판단 |
---|---|---|
< 0.05 | 정상 | 세균감염 가능성 낮음 |
0.05 ~ 0.5 | 미세 감염 의심 | 재검 필요, 초기 감염 가능성 |
0.5 ~ 2.0 | 감염성 염증 | 세균성 폐렴, 요로감염 등 가능 |
> 2.0 | 중증 감염 | 패혈증, 전신감염 가능성 높음 |
⬆ 5. Procalcitonin 상승 원인
- 🦠 중증 세균 감염 (패혈증, 폐렴, 복막염 등)
- 🔥 심한 외상, 화상
- 💉 수술 직후 일시적 상승
- 🧬 패혈성 쇼크, 신생아 감염
🩺 6. 임상 활용 예시
상황 | Procalcitonin 해석 |
---|---|
폐렴 증상 + PCT 0.7 | 세균성 가능성 높음 → 항생제 고려 |
미열 + PCT 0.2 | 바이러스 감염 또는 초기 상태 |
쇼크 + PCT 5.6 | 패혈증 의심 → 즉시 치료 |
🔬 7. CRP vs PCT 비교
항목 | CRP | Procalcitonin |
---|---|---|
반응 시간 | 6~12시간 | 2~4시간 (더 빠름) |
지속 시간 | 수일 간 지속 | 감염 해소 시 빠르게 감소 |
특이성 | 전반적 염증 | 세균성 감염에 특이 |
임상 활용 | 염증 추적, 심혈관질환 | 패혈증 조기 진단, 항생제 판단 |
✅ 8. 결론
Procalcitonin 수치는 세균성 감염과 패혈증을 감별하는 데 매우 유용한 지표입니다. 0.5 ng/mL 이상이면 세균감염 가능성이 높고, 2.0 ng/mL 이상이면 전신 감염 또는 패혈증 위험을 의미합니다.
CRP와 함께 해석 시 정확도가 더욱 높아지며, 항생제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실질적인 기준으로도 활용됩니다.
의심 증상이 있다면 PCT 수치를 통해 조기에 대응하는 것이 생명을 구하는 빠른 판단이 될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