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lirubin 수치별 해석: 황달의 원인을 구별하는 간 기능 지표
Bilirubin(빌리루빈) 은 적혈구가 분해될 때 생기는 색소로, 주로 간에서 처리되어 담즙으로 배출됩니다. 이 과정에 이상이 생기면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올라가며, 피부나 눈의 흰자위가 노랗게 변하는 '황달' 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총빌리루빈(Total Bilirubin), 직접(Direct), 간접(Indirect) 빌리루빈의 차이 와 각 수치별 해석, 의심 질환을 표로 정리하여 황달 원인을 쉽게 감별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 1. Bilirubin 정상 수치 기준 검사 항목 정상 수치 (mg/dL) 총 빌리루빈 (Total Bilirubin) 0.2 ~ 1.2 직접 빌리루빈 (Direct) 0.0 ~ 0.3 간접 빌리루빈 (Indirect) 0.2 ~ 0.9 ※ 직접형은 수용성으로 간에서 가공된 상태, 간접형은 간에서 처리되기 전의 형태입니다. --- 2. Bilirubin 수치별 해석표 총 빌리루빈 수치 해석 의심 질환 0.2 ~ 1.2 mg/dL 정상 정상 간 기능 1.3 ~ 3.0 mg/dL 경도 상승 지방간, 경증 간염, 길버트 증후군 3.1 ~ 10 mg/dL 중등도 상승 급성 간염, 용혈성 빈혈, 담도 정체 10 mg/dL 이상 고도 상승 폐쇄성 황달, 전격성 간염, 간경화 말기 --- 3. 직접형 vs 간접형 빌리루빈 상승 비교 구분 ...